[미디어펜=김규태 기자]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안 적용 시점이 2022학년도로 1년 유예되면서 수능개편 세부안과 학생부종합전형(학종) 개선에 대한 논란이 가속화되고 있다.

절대평가 및 교과목 범위·EBS연계 등 수능개편에 대한 1안·2안·현행안을 놓고 여론이 팽팽한 가운데,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은 새 교과를 배우면서 수능을 옛 과목으로 치뤄야 하는 모순된 상황에 놓이게 됐다.

중학교 2년생 또한 고교학점제와 내신절대평가 등 문재인 정부가 교육개편을 최초로 적용하는 학년으로서, "우리가 교육 실험용 쥐인가"라는 볼멘 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교육계 일각에서는 "작년 3월 출범한 수능개편위원회 위원 구성과 논의 내역에 대해 밝혀진 게 없다"면서 교육부가 수능개편에 어떤 노력을 했는지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관건은 수능 절대평가 시행에 따라 대입 변별력 약화가 확실한 상황에서 학종을 어떻게 개선해 변별력과 사교육비 감소를 이끌어내느냐다.

교육계는 우선 깜깜이 전형, 금수저 전형이라는 비판이 이어지던 학종과 관련해 "정부가 수험생과 학부모의 부담이 컸던 자소서 및 교사추천서를 폐지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반면 지금과 같은 '수시 우선' 대입전형의 틀에서는 수시를 대비한 고가의 첨삭지도와 사교육 컨설팅을 줄이기 힘들다는 맹점은 그대로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사교육계는 변별력 개선 등 교육개편에 대해 "정부의 수능개편 유예로 2022학년도 대입 방향이 정해지지 않아 불확실성이 커졌다"며 "특목고 진학이나 내신 올인의 유불리에 대해 섣불리 예단하기 힘들다"고 관측했다.

   
▲ 교육부는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안 적용 시점을 2021학년도에서 2022학년도로 1년 유예했다./사진=연합뉴스

정부는 시간을 두고 수능개편 및 학종 개선을 추진할 방침이다.

김상곤 교육부 장관은 지난달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교원 간담회와 권역별 공청회를 연달아 했지만 첨예한 입장 차이로 국민적 합의를 이끄는 데 한계가 컸다"며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이와 관련해 "수능개편 1안은 상대평가로 남는 국어 수학 탐구과목으로 사교육이 몰리는 '풍선 효과' 우려가 있고, 2안은 수능 변별력이 떨어져 대학별 고사가 부활할 가능성이 크다"며 "공청회 참석자들 가운데에서도 1안과 2안, 현행 유지를 지지하는 비율은 대동소이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10월 중으로 고교교사·대학관계자·학부모 등이 참여하는 '대입정책포럼'을 구성해, 내신성취평가제(절대평가)와 고교학점제를 골자로 한 고교교육 정상화 방안과 대입정책을 논의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대입정책포럼의 의견을 토대로 국가교육회의 자문을 거쳐 정부가 개편 예고시점인 내년 8월까지 어떠한 수능개편책을 내놓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