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주 트럼프 방한, 한미관계에 새 계기될까
미중 사이의 양다리 걸치기란 전략 없는 임기응변
   
▲ 조우석 언론인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한국 방문(7~8일)은 전통적인 한미관계에 새로운 계기가 될 것이 분명하다. 표면적으로 이번 방문은 대북 압박의 국제 공조를 호소하는 국회 연설과 함께 평택의 캠프 험프리스 방문 등으로 짜여져 있지만 물밑에선 양국 간에 모종의 긴장감이 감지된다.

두 가지 요인 때문인데, 전작권 조기 환수 움직임에 따른 동맹 균열 조짐, 그리고 한중 관계라는 변수다. 며칠 전 사드 추가배치 반대, 미국 MD 불참, 한미일 삼각 군사동맹 반대 등을 중국에 덜컥 약속해줌으로써 한국 정부는 미-중 양다리 걸치기를 선언한 모양새다. 대전략이 없는 임기응변이 아닐 수 없는데, 이게 대한민국 운명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

대전환기의 성찰을 위해 역사속의 한미관계를 재점검해볼 필요성을 느끼는데, 그걸 위해 썩 훌륭한 게 원로 역사학자 유영익 선생의 논문이다. 옛책 <한국근현대사론>(1992년 일조각 펴냄)에 수록된 ‘개화기 한국인의 대미인식’이 그것인데 미국에 관한 우리의 통념을 바꿔놓고 있어 흥미롭다.

   
▲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6월30일 오전(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단독정상회담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승만 시대 1세기 이전부터 미국 짝사랑

일테면 '좋은 나라 미국'에 대한 대중적 인식이 형성된 계기는 이승만의 제1공화국 시절부터라고 알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다. 호의적 대미인식의 뿌리는 100년 이상 거슬러 올라가 1850년대부터다. 그때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중국 아편전쟁(1839~42)이 변수였다. 조선인이 하늘로 알던 중국이 종이호랑이라는 게 당시 만천하에 드러났다.

크게 코가 깨진 중국에서는 <해국도지(海國圖志)>(1844년) 등 근대적 서양 인문지리서가 출현해 세계 속 중국의 실체를 알려 노력했고, 그런 움직임이 실학자를 거점으로 해서 조선에 유입됐다. 당시 후쿠자와 유기치의 <서양 사정>(1866년) 등도 함께 읽히면서 미국에 대한 인식이 한껏 높아졌던 첫 계기였다.

그게 몇몇 개화파 인사의 눈을 띄워준 데 그쳤지만, 대중적 파급력도 무시못했다. 그러다가 성큼 등장한 게 청나라 외교관 황준헌이 쓴 <조선책략>(1880년)이다. 미국이 국제정치 무대에서 얼마나 중요한가를 일깨워줬고, 미국과 친구 되는 연미(聯美)전략을 제시했다. 실제로 고종이 그 글을 직접 읽었고, 조정의 사람들도 필사본 형태로 탐독했다.

그 결과 조미조약(1882년)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는 게 정설이다. 이후 호의적 대미인식은 1차 대중화 단계에 들어갔는데, 당시 막 출현했던 '한성순보', '독립신문'이 바람을 잡았다. 미국을 다른 열강과 사뭇 종류가 다른 나라로 조선인의 머리속에 입력시킨 것이다.

그러고 보면 원조 운동권 청년 이승만이 옥중에서 탈고한 <독립정신>(1904년)이 미국을 "믿고 의지할만한 나라"이라고 보는 국제정치 인식의 대전환도 두 신문의 영향이었다. 그걸 전후해 1883년 보빙사 자격으로 미국을 돌아본 민영익-홍영식의 리포트가 이어졌다. 민영익이 "나는 암흑에서 태어나 광명 속으로 들어가 봤다"고 했던 찬탄은 무척 유명하다.

미국은 광대하며, 때문에 영토 욕심이 없다는 믿음, 독립-자유의 선봉이라는 인식으로 뿌리 내렸다. 이게 무얼 뜻할까? 출발부터 썩 특별했던 호의적 대미인식은 대한민국 건국 훨씬 이전인 1850년대가 기점이며, 일제시대라는 공백을 뚫고 1950년대에 화려하게 복원됐다고 봐야 한다.

   
▲ 지난 7월 6일(현지시간)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 참석해 웃고있다. /사진=연합뉴스

누가 한미관계를 절단 못내 안달하나

그럼 미국에 대한 짝사랑이 전부였고, 냉철한 국제정치 감각은 없었을까?  그건 아니다. 1905년 미국이 조미조약을 일방적으로 파기함으로써 미국에 대한 우리의 호의는 결정적으로 훼손된 게 사실이다. 하지만 그 전에 우린 미국을 객관적으로 보려는 노력을 늦추지 않았다. 대표적인 게 개화기 3대 지성이다.

유길준-김윤식-윤치호야말로 당대의 식견을 가진 이들인데, 대부분 지미(知美)인사다. 단 미국이 정말 믿을만한 우방인가에는 의문부호를 달았던 공통점을 갖고 있다. 다음의 인용문은 첫 미국 유학생인 유길준이 유학 직후 쓴 글(‘중립론’)의 일부인데, 김윤식-윤치호도 같은 입장을 견지했다.

"미국은 우리와 우의가 두터우니 의지할 만 하다고 말하지만, 그렇지 않다. 더구나 먼로 독트린 이후 외국에 간섭할 수 없게 됐다. 옛말에 천 마디의 말이 한 발의 탄환만 못하다고 했다. 미국은 우리의 통상 상대로만 친할 뿐이며, 위급함을 구해주는 우방으로 믿을 바 못된다."

옛날 얘기는 여기까지다. 유영익 교수의 논문은 결국 한미관계란 짧으면 짧은대로 그 안에 드라마가 있는 특수관계임을 보여준다. 사실 개화기 이전 성리학의 틀로 보면 미국은 야만의 상징이었다. 그런 미국이 개화기 시절 "광명의 나라"로 떴다가 일제시대엔 다시 일본의 논리에 밀려 "야만의 나라"(미영귀축(米英鬼畜)의 논리)로 추락했다.

어쨌거나 문제는 지금이다. 이런 긴 역사의 시야에 비춰 지금의 부쩍 흔들리는 한미관계란 게 과연 정상인가? 그걸 물어야 한다. 전작권 조기 환수 움직임, 한미일 삼각 군사동맹 반대 등은 대체 뭐하자는 것인가? 그건 한미 양다리 걸치기를 떠나 불길하기조차 하다.

동맹국으로서 미국의 의지는 한결 같은데, 우리 스스로가 저들을 배신하고 등 돌리고 있는 모양새다. 개화기 시절 유길준의 판단과 달리 현재의 미국은 “우리의 위급함을 구해줄 유일한 우방”이 아니던가? 두 가지 길이 우리 앞에 남아있다. 한반도에 독립과 개방을 가져온 한미동맹에 충실한 것인가, 아니면 굴종과 폐쇄의 친중 사대주의라는 옛 질서로 돌아갈 것인가?

역사의 퇴행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런데도 이 나라 좌익세력의 논리와 상상력은 실로 고약하다. 지금 그들이 한미관계를 절단 내지 못해 안달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조우석 언론인
[조우석]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