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최주영 기자]항공업계가 오는 13일과 14일 열리는 한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반색하고 있다. 항공사들은 이번 한중 정상회담에서 사드 갈등이 완전하게 봉합되고 한중 관계를 새롭게 출발시키는 확실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
|
|
▲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11월 11일 오후(현지시간) 베트남 다낭 크라운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중국 항공시장은 항공업계의 '블루오션'으로 꼽힌다. 중국인 여행 수요 등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어서다. 세계 최대 항공기 제조업체인 보잉사는 중국의 신규 항공기 수요가 2036년까지 7240대(1조1000억 달러, 1242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항공사들의 중국 노선 수요 증가세도 가파르다. 지난해 중국 노선의 국제선 여객은 1년 전과 견줘 30%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중국인의 제주도 무비자정책, 비자발급 간소화에다 중일 관계 악화로 한국으로 들어오는 중국 관광객이 크게 늘었다.
정부도 중국 항공시장의 성장성에 주목해 한중 항공노선 확대를 지속 추진해 왔으나 여의치 않았다. 국내 항공사들은 3월 15일부터 시작된 중국 정부의 금한령(禁韓令) 영향으로 중국노선 운항을 거의 하지 못했다.
현재 중국과 한국은 지난 2011년 항공자유화 협의를 진행했지만 중국 측의 입장 선회로 논의가 중단됐다. 2006년 산둥성과 하이난성의 부분자유화가 이뤄진 후 십여년 넘게 항공 자유화 논의가 지지부진한 상태다.
정부는 지난 7월 6일 한중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의 한중 교류와 협력에 대한 분위기가 미완적이었던 만큼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화해무드가 잘 연출될 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국토부는 장기적으로 한국과 중국간 항공자유화 지역 확대와 운수권 추가 확보를 염두에 둔 상태다.
중국 항공시장 선점 기회를 노려 온 국내 항공업계는 기대감을 표출하고 있다. 특히 이번 정상회담에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2차 협상이 개시될 것으로 보여, 양국간 우호적인 분위기와 맞물려 중국 항공시장이 개방될 것이란 기대가 크다.
관건은 중국 정부가 단체 관광객에 대한 비자 발급을 사드 보복 이전 수준으로 완화하느냐가 이번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판가름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한국 관광객의 60% 이상을 차지했던 광저우 등 상하이 이남 지역에서 단체 비자 발급 제한 조치가 풀릴 것으로 관측된다.
|
|
|
▲ 제주항공 여객기 /사진=제주항공 제공 |
또 내년 2월 평창동계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있는점을 고려할 때 비자 발급 완화로 내년 1월부터 서서히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인들의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사드 배치로 인해 상반기 한차례 홍역을 앓았지만 이번 한중정상회담을 통해 내년부터는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성장 가능성이 큰 중국의 중서부 지역 항공 공급증대가 이뤄지면 양국 간에 더욱 활발한 교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얼마 전 제주항공 등 저비용항공사(LCC)는 중국의 항공자유화에 대비해 국제항공운수권의 '우선 배분'을 요구하는 공식 건의문을 전달한 상태다. 서울 출발 중국 노선 운수권을 대형 항공사들이 독식하고 있는 만큼 LCC의 노선 참여를 보장해 달라는 이야기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항공자유화가 이뤄지거나 LCC에 새 운수권이 부여되면 지방공항에서 경쟁력 있는 다수 노선이 개설돼 소비자의 선택권이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최주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