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통일부는 27일 북한 핵실험 지역인 함북 길주군 출신 탈북민들을 대상으로 한 방사선 영향 및 건강 상태를 점검한 결과 일부에게서 방사선 피폭 또는 오염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는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이날 길주군 출신 탈북민 30명에 대한 방사선 피폭 검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가운데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 2명 중 1명은 국내 거주 일반인 수준보다 높은 결과를 보여 염색체 이상을 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요인에 노출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다만 통일부는 이번 검사 결과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 2명의 건강 상태가 핵실험에 의한 피폭 영향으로 단정할 수는 없다고 판단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방사선 피폭도 한 원인일 수 있으나 검사의 교란변수로 작용할 수 있는 북한에서의 거주 환경에 의한 영향을 평가할 수 없는 정보가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1명에 대해서도 “피검자의 교란변수인 고령과 두경부 CT를 촬영한 의료피폭력 및 장기간 흡연력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번 검사는 그동안 일부 내·외신과 해당 지역 출신 탈북민 사이에서 핵실험 지역 주민의 방사능 피폭 의혹이 제기되어온 것에 따른 것이다. 

통일부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원자력의학원과 함께 2006년 1차 핵실험 이후 탈북한 길주군 출신 114명 중 검사를 희망한 남성 4명과 여성 26명 등 30명을 대상으로 10월24일∼12월16일 검사를 실시했다. 

피폭 검사는 전신계수기(감마 방출 핵종 내부오염을 검사), 소변시료분석(알파/베타 방출 핵종 내부오염 검사), 안정현 염색체이상분석(누적 방사선 피폭 검사), 불안정형 염색체이상분석(최근 방사선 피폭을 검사) 등 4가지 항목으로 진행됐다.

이와 함께 일반 건강검진(혈액검사, 소변검사, 내시경검사, 초음파검사 등)도 병행 실시됐다.

검사 결과 안정형 염색체이상분석 검사에서는 최소검출한계(0.25Gy) 이상의 추정 흡수선량값이 보고된 피검자가 총 4명으로 나타난 것으로 드러났다. 이 4명 중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 주민은 2명으로 나타났지만 다른 교란변수와 영향을 배제할 수 없어 방사선 피폭으로 단정할 수 없다는 결론이다.

통일부는 방사선 피폭 의심 탈북민에게는 주기적인 건강검진을 권고하는 한편 탈북 시기와 지역 등을 고려해 방사선 피폭검사를 추가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통일부는 27일 북한 핵실험 지역인 함북 길주군 출신 탈북민들을 대상으로 한 방사선 영향 및 건강 상태를 점검한 결과 일부에게서 방사선 피폭 또는 오염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는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사진=미디어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