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율 인하 시 한국 소비자 후생 최대 30억 달러 증가
평균 실질 임금, 한국·미국 최대 0.388%, 0.038% 상승
[미디어펜=조우현 기자]한미 FTA가 양국 모두의 총 생산성을 높여 양국 소비자 후생 및 실질 임금을 크게 증대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5일 ‘한미 FTA가 실질 임금 및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발표, “한미 간 관세율 인하·철폐 시 소비자 후생 증가는 한국과 미국에서 각각 최대 30억 달러, 53억 달러에 이르고 평균 실질 임금은 최대 0.388%, 0.038%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한경연은 이번 분석을 위해 기술진보 효과 분석이 불가능했던 기존 경제모형의 한계를 극복, 산업 내 로테크 내수기업 및 하이테크 수출기업을 포함한 새로운 경제모형을 개발해 연구를 진행했다.  

한미 FTA는 한미 양국 모두의 소비자 후생을 크게 증대시켜

한미 FTA는 전 시나리오에 걸쳐 양국 소비자의 후생을 크게 증대시키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미국 내 기술진보 효과가 크게 나타나 전체 소비자의 후생 증가는 한국 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한국의 총 소비자 후생은 최대 30억 달러 증가하는 반면, 미국의 총 소비자 후생은 최대 53억 달러 증가한다.

반면 일반적인 예상과 달리 미국의 소비자 후생 증가는 한미 양국 간 제조업 부문 관세율만을 100% 철폐했을 경우에 가장 컸다. 1차 산업 추가 개방은 오히려 미국의 총 소비자 후생의 증가 폭을 다소 감소시키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는 1차 산업 부문 관세율 철폐가 미국 1차 산업의 상대적 팽창으로 연결되면서 제조업 부문의 제반 기술진보 효과를 일부 잠식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한미 FTA는 양국 평균 실질 임금 역시 증대시켜

한미 FTA는 양국 평균 실질 임금 또한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실질 임금 증가는 미국보다 한국에서 더 크게 나타나 한국에서는 최대 0.388%, 미국에서는 최대 0.038%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하이테크 수출기업 수 증가와 더불어 로테크 내수기업 노동자들의 실질 임금이 감소하더라도 하이테크 수출기업 노동자들의 실질 임금 증가폭이 이를 상회하는데 따른 결과다. 한미 양국 모두에서 상당한 기술진보 효과가 발생해 평균 노동생산성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미국 평균 실질 임금 증가는 역시 한미 양국 간 제조업 부문 관세율만을 100% 철폐했을 때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정재원 연구위원은 “자유무역협정 체결은 1차적으로 체결 국가 간 교역 증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도 “궁극적으론 자유무역을 통한 자국민 후생 증대를 목표로 하는데 미국을 중심으로 한 최근의 논의들은 무역수지 증감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한미 FTA는 한미 양국 모두의 소비자 후생 및 실질임금을 크게 증대시키는 상호 호혜적인 무역협정”이라고 말했다.

또 “본 연구 결과가 보여주듯이 한미 양국 간 교역에 있어서 개방도가 떨어지면 떨어질수록 전반적으로 양국 소비자 후생 및 실질 임금은 감퇴된다”며 “특히 소비자 후생 감소폭은 한국보다 미국에서 더욱 크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정 연구위원은 “향후 한미 FTA 재협상에 있어 일부 세부 품목의 개방속도에 대한 양국의 이견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한미 FTA의 상호 호혜성을 기반으로 큰 틀에서 양국 간 개방도가 떨어지지 않는 방향으로 중지를 모으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조우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