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젊은 여성 일자리의 지역별 특성과 시사점 : 지방소멸위기지역을 중심으로' 보고서 발간
[미디어펜=나광호 기자]저출산·고령화와 생산인구의 감소로 인구절벽 문제가 심화된 가운데 지방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젊은 여성 인구 감소현상이 두드러진다는 보고서가 발표됐다.
산업연구원이 8일 발표한 '젊은 여성 일자리의 지역별 특성과 시사점 : 지방소멸위기지역을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20~39세 여성의 취업자 수가 서비스업 등 특정 직업에서 증가한 것과 달리 소멸위기지역에서는 모든 직업군에서 그 수가 감소했다.
지방소멸은 가까운 미래에 한 명도 거주하지 않아 인구가 소멸하는 지역으로, 소멸위험지수는 65세 이상의 고령인구 비중과 20~39세 여성인구 비중의 상대비로서 이 비율이 0.5미만이면 지방소멸위기지역으로 정의한다.
현재 전남 고흥군과 경북 의성군이 0.14로 전국에서 가장 소멸위험도가 높으며, 경북 군위군·전남 신안군·경남 합천군·경남 합천군·경북 영양군·전남 함평군·경북 봉화군·전남 보성군·경북 영덕군 등이 뒤를 이었다.
|
|
|
▲ 총 취업자 및 20~39세 여성 취업자 추이(2008~2016)/사진=산업연구원 |
보고서는 지방 광역시의 20~39세 여성 취업자 역시 감소해 소멸위기지역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며, 지방 광역시가 젊은 여성의 일자리 공급 측면에서 경쟁력을 잃어간다고 분석했다.
또한 지역 대표 주력산업 중심의 제조업 고도화를 통한 성장활력 회복과 함께 젊은 여성 인구의 지역 유치를 위해 사물인터넷(IoT)·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주력산업의 서비스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서정현 연구원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고용률 추이를 보면 지역 간 고용률 격차는 더욱 심화됐으며, 이러한 고용 격차는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의 젊은 여성 인구 유출을 야기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결국 일부 지역의 지방 소멸 가능성을 확대시킬 것"이라며 "지역일자리 창출 전략 수립 시 젊은 여성인구를 타깃으로 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