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아프리카 진출 노력 거의 중단, 중국을 배워야

중국의 거침없는 아프리카진출과 우리의 과제

   
▲ 박대식 국제경영원 전문위원
중국의 아프리카 진출이 우리 기업인들 사이에서 이슈가 되기 시작한 것은 10여 년 전이다. 중국 정부나 공기업들이 원조나 차관형식으로 아프리카에 쏟아 붓는 자금의 규모가 엄청나고 이런 이유로 아프리카에서 발주된 인프라 사업은 중국 기업이 싹쓸이 한다는 것. 인프라 공사에 소요되는 자재는 대부분 중국제를 수입해서 쓰고 건설인력마저도 현지인보다는 본토의 중국인을 데려다 쓴다는 것. 이런 방식의 아프리카 진출이 상당기간 지속된 탓에 중국기업의 건설공사가 끝난 후에는 현지에 차이나타운이 생길 정도라는 것이다.

아프리카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다보니 중국의 아프리카 진출에 대한 서방의 비난여론도 커지고 있다.중국 기업들이 공사를 수주하는 과정에서 공사비의 상당 부분을 현지 정부에 대한 로비자금으로 쓴다든가, 실제 공사비는 수주액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해 중국 건설회사가 시행하는 대부분 공사는 부실하다든가, 공사인력의 대부분을 중국 본토에서 데려와 쓰기 때문에 공사비의 상당 부분이 중국에 환수되는 것은 물론 아프리카 현지인에 대한 기술이전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등등.

실제로 UN에서는 수년전 개도국에서의 인프라 공사와 관련하여 현지 공무원의 뇌물수수에 대한 심각성을 지적하는 보고서를 발표하기도 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입찰심사시 중국 기업이 핵심경쟁력으로 내세우고 있는 입찰자의 자금력이나 가격보다는 기술력이나 기술이전 등에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주는 식으로 입찰평가를 수정하기도 했다.

외부의 비난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아프리카 진출은 빠른 속도로 진전되고 있다. 2001년부터 10년간 중국과 아프리카 교역의 연평균 증가율이 무려 28%에 달해 급기야 2009년부터 미국을 제치고 아프리카 제1위의 교역대상국 2012년 미국의 대아프리카 교역규모는 998억달러에 그친데 비해 중국의 같은 해 대아프리카 교역규모는 1999억달러 였다.
 

지난 5월 중순에도 리커창 중국 총리가 케냐를 방문하여 아프리카 6개국을 동서로 묶는 철도망 건설을 발표했다. 중국 기업이 사업권을 땄다지만 사업비의 90%를 중국 정부가 조달한다. 다른 나라로서는 엄두를 내지 못하는 접근방식이다.

   
▲ 중국이 아프리카 공략에 공을 들이고 있다. 시진핑 국가주석과 리커창 총리 등이 아프리카에 대규모 원조를 해주는 등 경협과 우호협력증진을 강화하고 있다. 우리는 외환위기이후 동구권등에서 사업을 철수하는 등 많은 수업료를 낸 바 있다. 우리도 중국의 아프리카공략에 대응하는 대책을 서둘러야 할 때다. 세계 물의 날을 앞둔 청계천에 지난3월 아프리카의 물 부족 현실을 알리기 위해 설치된 조형물 옆에서 어린이들이 물을 마시고 있다.

중국은 모든 국가원수가 취임후 첫 해외순방지로 아프리카를 방문하고 외교부장은 새해 첫 해외순방지로 아프리카를 방문하는 전통을 고수하고 있다. 서방국가에 대한 반감이 있는 아프리카 국가들을 국제정치 무대에서 자기 편으로 만들고자 함이다.

이제 중국은 정치적인 우방(?)인 아프리카를 경제적 동반자로 협력의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1990년 중반이후 중국 민간 기업의 해외투자가 본격화되면서 중국의 해외진출이 중국 외교부 주도에서 상무부로 전환되었다. 해외진출의 목적도 과거 정치적 관계가 최우선시 되던 것이 이제는 경제적 이익도 함께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와중에 진출의 주체도 국영 기업, 일반 기업, 중국 지방정부 등으로 다변화되면서 이런저런 부작용이 생기게 된 것이다.

중국과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관계는 2차 세계 대전직후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만큼 이들 관계는 뿌리가 깊다. 웬만한 외부의 비난에 흔들리지 않는다.

아프리카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남은 후진경제권이다. 자원도 많고 출생률도 높다. 하지만 정정이 불안하고 부정부패가 만연하며 소득수준도 낮다. 역설적이지만 더 이상 나빠지기도 힘든 지역이다. 그래서인지 지난 해에는 대부분의 컨설팅그룹이 아프리카를 발전가능성 1위 지역으로 꼽기도 했다.

아시아 금융위기이전에 우리 기업들이 구조조정을 위해 동구권에 진출했던 자산을 매각해야만 했던 아픈 기억이 있다. 자산매각과 함께 경험과 인적자산도 함께 날려 보냈다. 지난 MB정권때 약소하나마 정부와 기업들이 아프리카진출에 열을 올려 봤다. 지금은 여러 가지 이유로 아프리카 진출노력이 거의 중단되고 있다.

성공은 실패를 딛고 일어선다. 과거의 실패를 지우기보다는 실패의 경험을 미래의 성공을 위한 값진 자산으로 삼는 지혜가 필요하다. 이런 점이 우리가 중국에게서 배워야 할 교훈이 아닌가 싶다./ 박대식 전경련 국제경영원 전문위원, 미디어펜 객원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