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나광호 기자]정부가 에너지전환 및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에너지신산업 조기창출을 목표로 9대 실증 프로젝트 추진에 향후 10년간 민관 공동으로 1조3000억원을 투입하고, 종합 실증단지 조성과 실증시설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및 규제개선 등 실증연구 여건도 강화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에너지기술 실증연구 활성화 추진방안'을 제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위원회에 상정했다고 25일 밝혔다.
산업부는 정부가 추진 중인 에너지정책 실현은 에너지 신기술이 적기에 사업화돼 시장에 확산돼야 가능하지만, 최근 투자규모 감소 및 소형화 등 침체기로 사업화율이 정체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정부는 민간 태스크포스(TF)를 구성, 차세대 성장동력이 될 대형·융복합 에너지기술 실증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인프라 강화방안을 도출했다.
우선 태양광을 건물벽면·도로면·해상 및 간척지·농지 등으로 적용입지를 다변화하고, 3MW급에 머물로 있는 국내 해상풍력기술을 선진국 수준(6~8MW)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간헐성 극복과 계통 안정성 확보를 위해 구역단위 분산전원 통합관리시스템 및 가스전력화(P2G)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스템 실증도 추진한다. P2G(Power-to-Gas)는 재생에너지 잉여전력으로 물을 전기분해, 수소 및 메탄 등 가스연료 형태로 저장하는 기술을 말한다.
또한 정보통신기술(ICT)를 활용해 다수의 소규모 분산전원을 하나의 발전소처럼 운영하는 가상발전소(VPP) 기술·전기차 배터리를 ESS로 활용할 수 있는 차량-전력망(V2G) 기술·사물인터넷(IoT) 스마트센서의 자가발전을 위한 에너지하베스팅 기술 실증을 추진한다.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 확대에 대응한 발전용 가스터빈 시스템 국산화·석탄화력발전소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환경설비 국산화·고리 1호기 해체대비 및 해체산업 육성을 위한 원전해체 기술의 실증도 추진할 방침이다.
연구현장의 애로해소를 위해 실증연구 인프라도 대폭 강화한다.
우선 올해 전체 에너지 연구개발(R&D) 예산의 15.5%에 달하는 1200억원을 투자하고, 오는 2020년 20%로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실증시설 및 인증제도 현황과 과제이력 등 실증인프라 DB를 구축해 후속연구에 연계활용토록 하고, 한국전력공사 등 공기업 주도로 종합실증단지도 구축한다.
산업부는 이밖에도 재생에너지 입지규제 해소 및 전력분야 신사업 모델 실증을 위한 전기사업법 개정 등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기영 산업부 에너지자원정책관은 "이번에 수립한 실증연구 활성화 방안을 통해 재생에너지 3020 등 에너지전환을 가속화하고, 에너지신산업 조기창출을 통해 국내 업체의 경쟁력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이행과정에서 정부의 마중물 투자에 대응한 민간의 적극적이고 과감한 투자를 주문, 9대 전략 프로젝트가 민간주도 사업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