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비리 여파로 불러긴 채용방식 두고 이견 팽팽
그동안 채용비리 여파로 주춤했던 금융회사들이 일자리 창출을 위해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은행권이 올해 채용규모를 지난해보다 대폭 늘려 청년 일자리 창출에 앞장서고 있지만, 채용비리 여파로 불거진 채용방식을 둘러싼 이견은 계속되고 있다. 본지는 총 3회에 걸쳐 금융권 채용비리 사태에 따른 후폭풍과 나아가 채용절차의 공정성 확보에 대한 대안에 대해 고민해본다. (편집자주)

[금융권 채용비리①]'채용비리 후폭풍'은 아직도 현재진행형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지난해 말 국내 주요은행에서 광범위하게 벌어진 채용비리 여진이 아직도 금융권에 이어지고 있다.

그동안 채용비리 의혹으로 주춤했던 은행권은 올해 상반기 채용을 시작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그러나 채용비리 여파로 불거진 채용방식을 둘러싼 이견은 쉽사리 정리되지 않는 모양새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은행권은 지난해보다 채용규모를 대폭 늘려 청년 일자리 창출에 앞장서고 있다. 올해 KB국민‧신한‧KEB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채용규모는 2250여명을 넘어설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1825명)와 비교해 400여명 이상 늘어난 규모다.

금융당국의 채용비리 검사를 통해 서류전형에서 점수조작 등의 정황이 다수 드러난 만큼 은행권은 이른바 ‘은행고시’ 도입을 통해 공정성과 투명성을 담보하겠다는 대안을 내놓을 상태다.

은행연합회는 최근 필기시험과 면접 시 외부전문가를 참여하고, 부정합격자 발생에 따른 결원을 충원하기 위해 예비합격자 제도를 운영하는 내용을 담은 ‘은행권 채용절차 모범규준’ 초안을 금융당국에 전달했다.

모범규준에 따르면 은행이 채용절차를 진행할 때 필기시험을 치를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이는 권고사항에 불과하다. 그러나 채용비리로 극심한 몸살을 앓았던 대부분의 은행에서는 모범규준에 언급된 필기시험 도입을 추진 중이다.

우선 시중은행 가운데 가장 먼저 상반기 채용을 시작한 우리은행이 필기시험을 진행했다. 이날까지 상반기 채용 원서접수를 진행하는 신한은행도 필기시험과 직무접합도 면접을 도입한다. 국민은행 역시 필시기험과 인적성검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그러나 10년 만에 부활하는 은행고시를 둘러싸고 은행권 내부에서도 실효성에 대한 ‘반신반의’ 하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채용비리로 극심한 몸살을 앓았던 만큼 공정성을 담보하기 위한 방편으로 은행고시를 부활하기로 했지만, 과연 “은행에 맞는 인재 상을 가려낼 수 있는가” 하는 고민이 따른다는 것이다.

채용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담보하는 방향으로 제도개선이 이뤄져야 한다는 데는 이견이 없으나, 자칫 정량평가에만 몰두하다보면 금융회사별 특성에 맞는 인재채용에 있어서 자율성이나 유연성이 저해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별 특성에 맞는 인재를 등용하기 위해 지원자들의 선입견 없이 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꾸준히 도입되면서 ‘은행고시’도 자연히 은행권에서 사라지게 됐다”면서 “그러나 채용비리 이후 서류와 면접평가보다는 필기시험이 누구나 인정할수 있는 객관적 지표라는 인식이 자리하면서 은행권에서도 논란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필기시험 도입이 진행중이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필기전형은 서류나 면접에 비해 정량적인 지표를 보여줄 수 있어 논란의 여지는 줄일 수 있지만, 단편적인 점수화로 은행에 맞는 인재를 채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