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아지는 검찰당국 압박수위에 긴장감 여전
그동안 채용비리 여파로 주춤했던 금융회사들이 일자리 창출을 위해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은행권이 올해 채용규모를 지난해보다 대폭 늘려 청년 일자리 창출에 앞장서고 있지만, 채용비리 여파로 불거진 채용방식을 둘러싸고 이견은 계속되고 있다. 본지는 총 3회에 걸쳐 금융권 채용비리 사태에 따른 후폭풍과 나아가 채용절차의 공정성 확보에 대해 짚어본다. (편집자주)

[금융권 채용비리②]'채용비리 여진'에 은행권  갈수록 살얼음판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채용비리 혐의와 관련된 여진이 계속되면서 은행권엔 여전히 긴장감이 짙게 감돌고 있다. 무엇보다 금융권에 대한 검찰당국의 압박수위가 높아지면서 ‘최고경영자(CEO) 리스크’에 따른 경영혼란을 우려하고 있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법원이 함영주 KEB하나은행장의 채용비리 혐의와 관련해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를 기각했지만, 긴장감은 누그러들지 않은 모양새다. 특히 검찰이 현직 시중은행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한 데 대해 은행권은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채용비리 의혹과 관련해 현직 은행장이 연루된 은행에서는 특히나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이어 “최악의 사태는 면했지만 상황이 어떻게 급변할지 몰라 다들 지켜보고 있다”면서 “지난해 말부터 채용비리 사태로 어수선한 분위기가 이어지면서 계열사의 사업 추진 등 공격적인 영업활동에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채용비리와 관련해 금융감독원이 수사를 의뢰했던 KB국민‧KEB하나‧DGB대구은행 등에 대한 윗선에 주목하고 있다. 검찰은 지난 달 9일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한데 이어 29일에는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을 소환해 조사했다.

박인규 전 DGB금융그룹 회장 겸 대구은행장이 구속된데 이어 이번에 새로 내정된 김경룡 행장 내정자도 역시 같은 혐의로 검찰의 수사선상에 올라 있다. 대구은행은 이와 관련된 의혹이 해소된 후 은행장을 선임한다는 방침으로 김 행장 내정자의 선임을 돌연 연기한 상태다.

이처럼 채용비리를 둘러싼 ‘CEO 리스크’와 함께 채용절차를 두고서도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업계는 채용과정에서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담보하기 위한 일환으로 이른바 ‘은행고시’를 속속 도입하고 있다. 금융당국의 채용비리 검사에서 서류전형과 점수조작 등의 정황이 다수 드러난 만큼 정량평가를 통해 논란의 여지를 없애겠다는 판단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필기시험 도입을 추진하는 업계조차 그 실효성에 대해선 물음표를 던지고 있다. 은행마다 추구하는 인재상을 과연 정량적인 지표로 평가할 수 있느냐는 문제다.

더욱이 수도권과 달리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영업활동을 하는 지방은행의 경우 지역인재에 대한 니즈를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은행이 원하는 인재상을 뽑기 위해 행해졌던 채용관행이 현재 국민정서에서 벗어난다는 점도 지나칠 수 없다는 게 은행권 관계자의 설명이다.

그는 “채용비리 혐의에서 ‘공정성’이 훼손됐다는 게 가장 큰 이슈로 부각된 만큼 필기시험 도입은 거스를 수 없는 선택”이라며 “다만 공정성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은행이 추구하는 인재상을 가려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은행들마다의 고민이 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