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증가, 민간소비 확대로 이어지기는 어려워

올해 우리나라 경제 연간 성장률이 3.4%에 머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 경제활동인구조사 및 가계동향조사 / 자료=한국경제연구원




한국경제연구원은 이달 발간한 ‘KERI 경제전망과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는 지난 4월 발표한 연간 성장률 3.5%에 비해 0.1%p 하향 조정된 것으로, 최근 세계경제 회복세 약화, 환율하락세, 소비 부진 추세를 반영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보고서는 하반기 민간소비의 경우 가계소비성향이 하락하는 가운데 세월호 사건 이후 소비심리 악화 등으로 부진한 모습을 이어가고, 설비투자도 지방선거 이후 정책 리스크 확대 등으로 회복세가 약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수출은 유럽(저성장·저물가), 중국(구조개혁 수반 성장 둔화), 일본(소비세 인상 이후 회복 불안), 신흥국(금융 불안 재발 가능성) 등 대외여건 불확실성 확대의 영향으로 회복세가 5%대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소비자물가는 마이너스 생산 갭 축소, 국제원자재 가격 반등 등으로 하락압력이 완화되면서 상반기보다 높아지겠지만 연간으로는 2.0%의 낮은 증가율에 그칠 것으로 예측했다.

경상수지는 내수 회복 지연에 따른 수입부진의 영향으로 하반기 중 흑자가 확대되면서 연간으로는 사상 최대였던 지난 해(799억달러)를 상회하는 831억달러로 내다봤다.

원달러환율은 하반기 중 하락세를 이어가겠으나 4/4분기에는 유로 및 엔 약세에 수반된 달러강세의 영향으로 소폭 반등할 것으로 전망하며, 연평균 1035원을 예상했다.

보고서는 또한 최근 고용증가세는 확대됐지만 소비여력은 오히려 감소해 고용증가가 민간소비 확대로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판단했다.

산업별·연령별 평균소비성향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신규 임금근로자 1인이 소비지출 증가에 기여하는 정도는 2006년~2013년 사이에 약 35.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40대는 고용증가가 미흡한 상황에서 평균소비성향마저 하락해 소비여력 감소 요인으로 작용했고, 고용회복률이 가장 높은 50대 이상도 평균소비성향 하락의 영향을 크게 받아 소비여력 증대에 기여하는 정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양규 연구위원은 “2013년에 임금근로자가 무려 47만6000명 증가하였지만 소비여력 증가에 기여하는 정도로 평가할 경우에는 30만5000명에 불과하다”며 “양적 고용사정이 크게 개선된 것을 근거로 민간소비 회복되기를 기대하는 것은 어렵다”고 밝혔다. [미디어펜=김세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