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 독일에서의 활약…윗세대 꿈 이루어지다
대한민국 눈부신 기적·번영…‘노력’으로 지켜나가야
   
▲ 조우현 산업부 기자
[미디어펜=독일 베를린/조우현 기자]“여러분 난 지금 몹시 부끄럽고 가슴이 아픕니다.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무엇을 했나 가슴에 손을 얹고 반성합니다. 나에게 시간을 주십시오. 우리 후손만큼은 결코 이렇게 타국에 팔려나오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반드시. 정말 반드시.” 

1964년 12월 10일, 박정희 전 대통령이 서독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가난한 나라의 대통령이었던 그는 전용기가 없어 서독대통령이 보내준 국빈용 항공기에 신세를 져야 했다. 방문 목적은 ‘한국 경제 협조’였지만 사실상 돈을 빌리러 가기 위함이었다. 1인당 GNP가 80달러인 나라의 대통령 처지는 그런 것이었다.

박 전 대통령과 육영수 여사는 서독에서의 공식 일정을 수행하며 독일 북서부에 위치한 함보른 탄광을 방문한다. 그곳에서 허드렛일을 마다않고 고생하는 파독 광부와 간호사들을 만난 뒤 대통령 내외는 그만 눈물을 흘리고 만다. 남의 나라에 와서 고생하는 국민들의 노고에 가슴이 아파서였다.

박 전 대통령은 “조국을 떠나 이역만리 남의 나라 땅 밑에서 얼마나 노고가 많냐”며 “몹시 부끄럽고 가슴이 아프다”고 솔직한 심정을 털어놓는다. 또 “비록 우리 생전에는 이룩하지 못하더라도 후손을 위해 남들과 같은 번영의 터전만이라도 닦아 놓자”며 스스로에게, 그리고 국민들에게 다시 한 번 다짐한다.

그로부터 54년이 흐른 지금, 박 전 대통령의 약속은 애저녁에 지켜졌다. 그토록 바라던 번영의 터전을 이뤄냈고, 가난의 굴레에서 해방된 것은 물론 명실상부 세계 10위권 경제 대국에 들어섰다. 원조 받던 나라에서 원조하는 나라로 성장한 유일한 나라가 된 것이다. 그 중심에는 대통령의 용의주도한 리더십과 성실한 국민, 위대한 기업이 있었다. 

   
▲ 1964년 12월 10일 고 박정희 전 대통령 내외가 독일 함보른 탄광 지역을 찾아 파독 광부ㆍ간호사를 만나 위로했다. 고 육영수 여사가 손수건으로 눈물을 훔쳐내는 동안 눈물을 참으려는 듯 입을 꾹 다문 채 앞을 바라보고 있는 박 전 대통령 모습.


삼성-LG 독일에서의 활약…윗세대 꿈 이루어지다

특히 박 전 대통령 시절만 해도 국내의 자그마한 기업에 불과했던 삼성과 LG의 성장이 감개무량하다. 자신들이 가난한 나라의 국민임을 확인해야 했던 독일 땅에서 열린 ‘IFA’에서의 활약을 보고 있자니 더욱 그렇다. IFA는 매년 초 미국에서 열리는 ‘CES’와 3월 스페인에서 열리는 ‘MWC’와 함께 세계 3대 전자제품 박람회로 불리는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다.

31일부터 다음 달 5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IFA 2018’에는 50개국의 1800여개 업체가 참가한다. 국내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를 비롯해 코웨이·쿠쿠 등 50여개 기업이 전시회 부스를 꾸린다. 특히 삼성전자는 이번 전시회에서도 최대 부스를 마련했고, LG전자는 ‘IFA 2018’ 개막 기조연설자로 나선다.

개막을 하루 앞둔 30일(현지시간) 김현석 삼성전자 CE부문 사장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삼성에서 만든 5억대의 디바이스가 매년 팔리고 있다”며 “그만한 힘을 가진 회사는 전 세계에 없을 것”이라고 자부했다. 특히 전 세계인 앞에서 삼성의 기술력을 뽐내던 그의 모습은 형언할 수 없는 뭉클함을 자아냈다. 

같은 날 오전 “인공지능, 로봇 등으로 업계를 선도하며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며 “키친 스위트, 시그니처 등 초프리미엄을 통해 글로벌 지배력 높이고, 수익성 기반의 지속적인 성장을 하겠다”고 전한 송대현 LG전자 H&A사업본부 사장의 포부도 남다르게 느껴졌다. 그 옛날 ‘노동’을 팔던 윗세대의 노력이 오늘날 ‘기술력’의 근간이 됐다고 생각하니 감사함이 솟구친 거다.

   
▲ 31일부터 다음 달 5일까지 열리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 2018'에 삼성전자가 업대 최대 규모인 1만2572㎡ 면적의 전시·상담 공간을 마련했다. 사진은 삼성전자 전시장의 야외 전경./사진=삼성전자 제공


대한민국 눈부신 기적·번영…‘노력’으로 지켜나가야

물론 이는 한두 해 안에 발생한 사건이 아니다. 십 수 년 전부터 있어왔던 일이다. 다만 머리로만 알던 ‘우리 기업 대단하다’는 명제를 눈앞에서 확인하니 식상한 표현이지만 감회가 새로웠다. 그 옛날 이역만리 먼 땅에서 눈물을 흘려야 했던 대통령과 파독 광부·간호사의 노력이 보상 받는 기분이랄까.

만약 1960년대를 살던 청년들이 가난을 비관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했다면 오늘 날 이 같은 감동도 없었을 것이다. 낯선 땅에서 고생하며 외화를 벌어들인 파독 광부와 간호사들은 그 시절의 평범한 청년이었다. 1세대 기업인이라 불리는 이병철 삼성 창업주, 구인회 LG그룹 창업주, 정주영 현대그룹 창업주 역시 가난한 시대를 열심히 극복해 나간 청년들이었다. 

이런 생각에 다다르고 나니 이 괄목할만한 성장에 재 뿌리기를 시전 하는 문재인 정부의 정책에 걱정이 앞선다. 이 눈물의 역사를 부정하며 산업화의 근간이 된 기업을 적폐로 몰아세우고, 경제학에도 없는 ‘소득주도 성장’ 정책을 강행해 역대 최대 실업률, 자영업자·영세기업 폐업 증가, 기업 투자 감소의 역사를 써내려간 그들이 후대에 무엇을 남겨줄 수 있을까.

흔히 한반도의 역사를 반만년의 역사라고 한다. 그런데 이 반만년의 역사 중 삼시 세끼를 다 챙겨 먹는 풍요로운 시대는 지금이 유일하다. 이 번영을 지키기 위해선 우리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대로 가다간 “한 세기 잠시나마 번영했던 대한민국이 있었다”는 역사가 쓰여 질지도 모른다고 하면 지나친 비약일까. 위기를 위기로 인식할 줄 아는 지혜로움이 필요한 시기다.

[미디어펜=독일 베를린/조우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