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 대체로 인한 실업 우려…실제로는 일자리 증가
[미디어펜=나광호 기자]"기계들이 우리들의 일을 대신하고 있다. 기계가 많아질수록 일자리가 사라지고 우리의 생존이 위협받는다."

19세기 초 영국 중·북부 공장지대의 근로자들이 "저 기계들을 부수자! 그래야 우리가 잘 살 수 있다"며 기계를 파괴하고 공장 소유주 주택에 방화를 자행한 것을 두고 역사에서는 '러다이트 운동'이라고 말한다.

이들은 기계의 등장 및 발달로 기존 근로자들의 작업이 대체되면 대량실업이 발생하고 자신들의 생계유지가 어려워질 것을 우려해 이같은 운동에 몸을 던졌으나, 다른 곳에서 일자리가 만들어지는 것과 문명의 진보에 눈을 감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실제로는 기계의 진보가 일자리를 늘리고 노동생산성 증가에 따른 근로자 임금 상승 등을 야기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지난 1970년 실업률은 7.4%에서 2012년 3.0까지 떨어졌으며, 같은기간 노동소득분배율은 41.0%에서 59.7%까지 높아진 바 있다. 

이처럼 러다이트 운동에 참여했던 사람들의 우려와 정반대의 현상이 나타난 원인으로는 기계가 보급되면서 기계를 만들기 위한 인력이 필요해지고 같은 시간에 더 많은 상품을 생산할 수 있게되면서 전후방 산업이 발전, 추가적인 일자리가 창출된다는 것이 꼽힌다. 

또한 실업자도 경험을 살려 유사 산업에 뛰어들 수 있음에도 러다이트 운동은 동서를 막론하고 꾸준하게 제기됐다. 일시적으로 없어지는 일자리는 눈에 쉽게 보이지만 새롭게 창출되는 일자리와 신기술 및 서비스로 인한 후생 증대는 차후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 러다이트 운동/사진=JTBC '차이나는 클라스' 캡처


대표적으로는 1980년대 컴퓨터가 등장할 당시 타자수라는 직업이 사실상 소멸될 위기에 처하자 반대 주장이 제기됐으며, 교통카드가 나올때도 버스 안내양 고용에 관한 논란이 불거졌다. 하지만 올 6월 기준 삼성전자·LG전자·SK하이닉스에만 15만명이 종사하고 있으며, 협력업체 직원까지 고려할 경우 이러한 주장의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네슈퍼 등을 살리겠다는 취지로 복합쇼핑몰·기업형슈퍼마켓(SSM) 등을 통제하는 것도 러다이트 운동의 일종으로, 이같은 정책이 영세상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는 점을 차치하더라도 이들 업체에 상품하는 협력사 및 해당 사업장 직원 감소를 비롯한 현상이 발생한다.

21세기 들어서는 컴퓨터를 활용한 자동화 기술이 발달하고 인공지능(AI)을 비롯한 4차 산업혁명 기술에 의한 대량실업을 걱정하는 '네오 러다이트' 운동으로 변모했다. 

특히 회계사·의사·기자 등이 향후 사라질 직종으로 언급되고 있으며, 이미 일부 작업은 로봇이 대체하고 있다. 이를 근거로 대량실업으로 인한 소비 감소가 경기 불황을 낳고 이것이 대공황으로 이어진다는 막스주의적 주장도 늘 거론된다.

최근에는 카카오 카풀이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카카오의 자회사 카카오모빌리티가 관련 앱을 론칭하고 운전자 모집공고를 낸 것에 대해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을 비롯한 관련단체들이 반대 집회를 열기도 했다. 국회에도 출퇴근 시간대에 유상 자가용 카풀 금지 법안이 제출된 상태다. 시민들이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택시의 입지가 좁아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택시 역시 인력거를 대체하면서 발전한 사업이며, 이윤 창출과 생존을 향한 열정이 매번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냈다는 점에서 이번 논란도 결국에는 러다이트 운동의 또다른 패배로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