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브레튼우즈 체제'는 지난 1971년 공식 '붕괴'됐다. 바꿔 줄 금이 부족해진 미국의 '일방적'인 '금 태환 중지선언' 때문이다.
붕괴 이후 각 국은 기존 '고정환율제'에서 '변동환율제'로 옮겨갔다.
변동환율제 국가의 비율은 1990년 15.6%에서 2006년 27.5%로 상승했고, 선진국은 같은 기간 26.1%에서 41.7%로 높아졌다.
신흥국들은 브레튼우즈 체제 붕괴 이후 '달러 페그(고정)제'를 선택했으나, 투기자본으로부터의 '공격'을 경험해야 했다.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가 대표적이다. 국제통화기금(IMF)는 이들에게 '구제금융'을 지원하면서, 변동환율제 도입을 요구했다.
미 달러화의 지위는 브레튼우즈 체제 붕괴에도 '요지부동'이다.
여전히 기축통화의 위상이 '굳건'하고 달러 결제의 비중은 무역과 상품 거래에서 절대적이며, 미국은 여전히 유일한 '초강대국'이다.
미국은 자국 국채에 대한 전 세계의 높은 수요로 낮은 금리에 자금을 조달하고, 그 빚은 인플레이션으로 채무의 실질 가치를 떨어뜨려 갚을 수 있다. '기축통화국'만이 가질 수 있는 '엄청난 혜택'이다.
인류 역사상 기축통화의 지위를 100년 이상 유지한 나라는 극히 드물다.
달러도 '위기'가 있었다. 바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다.
'미국 발' 금융위기로 세계의 금융시스템은 크게 무너졌고, 미국 경제의 '위기감'은 '대공황' 이후 최대였다. 많은 경제학 '구루'들이 달러의 위상 하락을 예상했다.
그러나 결과는 '정반대'였다. 미국의 위기상황에서 달러는 오히려 더 강해졌다. '위기 하의 달러 강세'는 자국 위기 시 통화가치가 하락하는 다른 나라들과는 전혀 다르다.
비결은 달러화가 '안전자산'이기 때문이다. 불확실성이 높아질수록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인 달러의 '비중을 확대'했다. 미국의 재정.경상 적자 폭이 늘어도 달러화의 지위가 변함 없는 이유다.
달러화가 특별한 첫 번째 이유는 '가치 저장수단'이기 때문이다.
금융위기 이후 유럽과 신흥국이 상대적으로 '부실화' 돼, 안전자산으로서의 달러화 위상이 더 높아졌다. 세계 각국은 '준비자산'으로 달러화를 신뢰한다. 통화 자체보다는 미국 국채를 매입하는 방식으로 달러를 보유한다.
미국을 제외한 다른 신용도 높은 선진국들의 '국채 공급'은 미국에 비해 '턱 없이 부족'하다.
금융위기 이전에는 글로벌 기업과 은행들이 안전자산을 공급했다. 그러나 '대마불사'에 대한 믿음은 사라졌다. 믿을 건 미 국채 뿐이다.
미국은 경상수지 적자 국가다. 다른 나라에서 '자본을 수입'하고 있다는 의미다.
반면 중국은 대표적 흑자 국가로, 자본을 '수출'한다. 주로 미국 국채를 매입, 준비자산을 늘리는 방식을 쓴다. 중국 등 신흥국들이 미 국채 매입을 계속하는 한, 미국은 소비를 '팽창'시킬 수 있다.
미국은 막대한 경상수지 적자에도 불구, 적자 폭을 줄이려는 노력은 별로 하지 않는다.
미국 입장에서 경상수지 적자는 '채무 위기'만 없다면 '국민 후생 증대'에 좋다. '핫 머니 유출' 문제도 기축통화국이어서 '해당 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수지 '적자 축소'를 명분으로 무역분쟁을 일으켰을 때, 세계가 의아해 했던 이유다.
미국은 외국에서 수입한 자본으로 우주항공, 생명공학, 첨단 무기 등 '고부가가치 산업'에 재투자할 수 있다. 이렇게 달러는 미국이 '세계 유일' 초강대국 지위를 유지할 수 있는 '원천'이다.
신흥국들은 금융위기들을 겪으면서, 달러화 등 준비자산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는 사실을 절감했다. '적정' 외환보유고란 존재하지 않는다.
준비자산은 '안전'이 수익성보다 중요하다. 달러가 각광받는 까닭이 이것이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