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남북 경협의 상징인 개성공단 앞 예성강 하구 바닷길이 많은 모래로 막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립해양조사원 관계자는 10일 전날 완료된 한강하구 남북 공동수로조사 결과를 설명하면서 "(예성강 하구 지역은) 사주로 완전히 둘러싸여 있어 50㎝∼1m 수심만 있어도 들어가는 소형 선박도 뚫지 못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 때문에 조사 첫날에는 어디로 들어가야 할지 수로를 찾는 데에만 4시간 이상 걸렸다"고 설명했다.
남북은 당초 강화도 북쪽과 예성강 하구를 각각 출발해 중간 지점에서 오전 10시께 만날 계획이었지만, 예상 못한 모래 사주 때문에 오후 2시 50분이 돼서야 처음 만났다.
수로조사에 직접 참여한 이 관계자는 이어 "2m 길이의 조그만 배에 남북 조사단이 함께 올라 관측을 했다"며 "우리가 북쪽으로 올라가서 측량하면 500m마다 놓인 북측 초소에서 다급하게 움직이더라. 해병 2사단 소속 우리 군도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만일의 사태를 대비했다"고 소개했다.
남북은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 분야 합의서'에 따라 정전협정 이후 65년 만에 지난달 5일 처음으로 남북 공동수로조사를 시작해 전날까지 총 660㎞를 측량하는 성과를 거뒀다.
500m 간격으로 A·B·C 구역에 우리 선박 각 2척씩 총 6척을 투입해 물 위에서 '음향측심기'로 쏜 음향이 수면 아래 바닥을 찍고 돌아오는 속도를 재 수심을 측정했다.
현장 조사가 꼭 필요하지만, 접근이 어려운 해역은 원격 조종이 가능한 무인측량선을 투입했는데, 길이 1720㎜, 너비 420㎜, 높이 310㎜ 크기의 이 무인측량선은 배터리팩으로 60분간 활동할 수 있다.
예성강 하구 지역은 개성공단에서 약 20㎞ 거리에 있는 곳으로, 위치에 따라서는 맨눈으로 개성공단이 보이는 요충지다.
이 관계자는 "북측에서도 예성강 하구는 준설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고, 짐짓 남측이 해줬으면 하는 바람이 있었다"면서 "과거 고려 시대에는 예성강에서 개성까지 배로 많이 드나들었을 텐데, 65년간 방치하다보니 홍수가 나면 또 수로가 바뀔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 "이번에 남북이 처음 개략적인 조사를 했지만, 홍수 이후로 정밀 조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현장 조사에 참여한 다른 관계자는 "이번 조사로 한강하구에 대해 10%가량 알게됐다"며 "통일부·국방부와 앞으로의 조사에 대해 계속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어느 정도의 규모의 선박을 대상으로 이곳 항행을 허용할지는 다음 달 해도가 나오고, 항행규칙을 만들어야 알 수 있다"며 "그 다음 큰 배가 지나갈 때 지장을 주는 암초를 제거할지 고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조사단은 경기도 파주시 만우리에서 인천광역시 강화군 말도까지의 수역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에서 물속 위험물인 암초 21개를 발견하고, 위치와 대략적인 크기도 확인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