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우리나라 은퇴 가구의 소득은 월평균 152만원으로 경제활동인구의 3분의 1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64%는 이전소득이며, 식비나 주거비, 의료비 등 생활비로 월 103만원을 쓰고 있다.
13일 통계청이 내놓은 '2018년 한국의 사회동향'에 따르면, 한국노동연구원의 한국노동패널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16년 기준 은퇴 가구의 연간 총소득은 1826만원, 월평균 152만원으로 집계됐다.
은퇴 가구의 가구 총소득은 경제활동가구 4955만원의 37% 수준이며, 소득 중 64%는 이전소득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전소득은 생산 활동이 없어도 정부나 가족 등이 보조하는 소득 등을 뜻한다.
국민연금이나 기초연금, 기초생활보장급여, 실업급여 등은 공적 이전소득에 속하고, 자녀가 부모에게 주는 생활비 등 친지나 기관 등 정부 이외의 대상으로 대가 없이 받는 지원금은 사적 이전소득에 해당한다.
은퇴 가구가 쓰는 월평균 생활비는 102만 7000원으로 이중 식비, 주거비, 의료비에 쓰는 것은 전체의 50%였다. 경제활동 가구는 28%만 식비, 주거비, 의료비에 사용했다.
은퇴 가구의 2013∼2016년 평균 상황을 보면, 가구주의 평균연령은 74.6세, 가구원 수는 1.6명으로 나타났다.
2017년 기준 65세 이상의 거주형태는 자녀동거가구가 23.7%로 2008년에 비해 3.9%포인트 감소했다. 노인 독거 가구는 23.6%로 같은 기간 3.9%포인트 늘어났고, 노인 부부 가구는 48.4%에 달했다.
전국 만 13세 이상 가구주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부모부양을 가족이 해야 한다는 응답률은 26.7%로 2008년에 비해 14%포인트 하락했으며, 가족과 더불어 정부와 사회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응답은 48.3%로 가장 높았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지난해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생활비는 43.6%, 의료비는 53.1%가 노인들 본인이나 배우자가 충당하고 있다.
노인들의 33.6%는 일을 하고 싶어했으며, 22.5%는 현재 일을 유지, 1.8%는 다른 일을 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산 상속방법으로는 노인의 59.5%가 재산의 자녀 균등 배분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자신이나 배우자를 위해 재산을 사용하겠다는 응답은 17.3%로 10년 전(9.2%)보다 약 2배로 증가했다.
2017년 기준 3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의 비율은 51%로 2008년에 비해 20.3%포인트 늘어나, '유병장수의 시대'가 되고 있다고 통계청은 밝혔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