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금호타이어 국적 변경
현대차그룹 외국자본에 지배구조 개편 무산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국내 완성차 업계는 유독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는 한해였다. 

연초부터 금호타이어가 중국업체로 매각됐고 한국지엠 군산공장은 폐쇄되는 것으로 시작됐다. 이어 현대자동차그룹의 지배구조 개편은 외국계자본의 힘에 무산됐고 BMW는 차량 화재사태로 불자동차라는 별명을 얻었다. 

   
▲ 한국지엠 군산공장 /사진=미디어펜


이어 정부의 일자리 창출방안중 하나인 광주형 일자리 사업 무산 등 굵직굵직한 이슈들이 줄을 이었다.

이중 가장 큰 이슈는 한국지엠 군상공장의 폐쇄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불거졌던 GM의 한국 철수설은 올해 2월13일 한국지엠이 군산공장 폐쇄를 발표하며 구체화됐다.  

이후 정부와 정치권, 지자체, 노동조합이 서로 책임 떠밀기에 여념이 없었다. 하지만 이미 주요 모델들의 판매 부진으로 가동률이 바닥인 군산공장의 폐쇄를 막을 수는 없었다.

제너럴모터스(GM)는 한 발 더 나아가 한국에서의 사업 지속 여부를 사실상 재검토하겠다는 의사를 표하며 정부와 노조를 압박했다. 결국 노조는 임금 동결을 포함한 자구안에 합의하고 2대 주주인 산업은행이 7억5000만달러를 지원하기로 약속하면서 일단 GM을 잡아두는 데 성공했다.  

GM은 그 대가로 한국지엠에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CUV 등 글로벌 시장에 판매할 신차 생산을 맡기고 최소 10년간 생산을 지속할 것을 약속했다. 또한 한국에 연구개발(R&D)법인을 신설해 글로벌 준중형 SUV와 CUV의 개발을 맡기기로 했다. 

하지만 이 계획의 일환으로 한국지엠이 연구개발 법인분리를 추진하자 한국지엠 노조가 반발하며 논란이 재점화 됐다. 노조에 이어 정치권까지 나서 법인분리가 한국 철수의 사전작업이라는 의혹을 제기하며 2대주주인 산업은행에 비토권을 행사할 것을 요구했다.

한국지엠은 지난 10월 임시주총을 열어 법인분리 안건을 통과시켰지만 산은이 '주총 무효 가처분 소송'을 내고 법원이 이를 인용하면서 제동이 걸렸다. 

결국 한국지엠이 산은에 법인분리 관련 사업계획서를 제출했고, 이를 검토한 산은이 법인분리에 찬성하며 사태는 일단락됐지만 한국지엠은 한 해 내내 철수설에 휘말려 경영정상화 작업을 제대로 진행하지 못하는 상황이 됐다. 

BMW차량의 잇단 화재사고로 인한 이른바 '불자동차 이슈'도 자동차 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계속해서 화재사고가 발생하자 국토교통부는 지난 7월 교통안전공단에 회재사고 원인 조사를 지시했고, BMW코리아는 얼마 뒤 'EGR(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모듈의 이상에 따른 화재발생 우려가 있는 42개 차종 10만6317대에 대한 리콜'을 발표했다.

이어 8월에는 김효준 BMW 그룹 코리아 회장이 직접 나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대국민 사과를 했고, 독일 BMW 본사 기술관련 임원들도 대거 입국해 사고 원인 등에 대해 해명했다.

하지만 소비자 단체와 피해자 모임 등에서 계속해서 의혹을 제기함에 따라 국토부를 중심으로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정확한 사고 원인 조사에 들어갔다.

   
▲ 김효준 BMW그룹코리아 회장이 대국민 사과 한 바 있다. /사진=미디어펜


이 과정에서 BMW는 소비자들로부터의 신뢰에 큰 타격을 입게 됐으며, 다른 자동차 업체들도 자사 차량의 화재사고 소식이 들릴 때마다 '불자동차 이슈'에 휘말릴까 가슴을 졸여야 했다.

현대자동차그룹 지배구조 개편 작업도 자동차 업계 주요 이슈 중 하나였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3월 현대모비스와 현대글로비스의 분할합병을 골자로 하는 지배구조 개편안을 내놓았다.  

하지만 미국계 행동주의 펀드 엘리엇이 현대차그룹의 재배구조 개편안이 미흡하고 주주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제동을 걸고 나섰고, 주주들의 의결권 행사에 영향을 미치는 의결권 자문회사들까지 잇달아 현대모비스의 분할합병에 반대하면서 난관에 부딪쳤다.

결국 지난 5월 21일 정의선 수석부회장이 직접 나서 시장과의 소통 부족을 인정하고 여러 의견들을 전향적으로 수렴해 새로운 개편안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기존 지배구조 개편안을 포기한 것이다. 

이른바 '반값임금 자동차 공장'으로 관심을 모았던 '광주형 일자리' 사업도 한동안 자동차 업계를 떠들썩하게 했다.  

광주시는 저임금 완성차 공장 설립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자동차 업계에는 경쟁력 있는 생산기지를 제공하겠다는 취지로 '광주형 일자리'를 추진했고, 정부도 적극 지원을 약속했으나, 노동계에서 임금체계 안정 보장을 위한 조항인 '단체협약 유예'에 반대하면서 결국 무산됐다. 

정부는 최근 2019년 업무보고에서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다른 지역으로 확대해 2022년까지 일자리 2만6000개 이상을 창출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첫 사례인 광주형 일자리에서 노동계 설득에 실패한다면 공염불에 그칠 수밖에 없다. 

그밖에 국내 양대 타이어기업 중 하나인 금호타이어의 중국 더블스타로의 매각, 2년간 판매정지 조치를 당했던 아우디·폭스바겐 영업 재개, 쌍용차 해고자 전원 복직 합의 등 다양한 이슈가 자동차 업계를 떠들썩하게 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