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마곡 원앤온리타워에서 열린 코오롱그룹 시무식에서 안병덕 부회장이 원앤온리위원회 명의의 신년사를 낭독하고 있다./사진=코오롱그룹


[미디어펜=나광호 기자]"역기를 번쩍들고 있는 아기, 출발선을 박차고 나가는 신발, 올해의 배지 속 '슈퍼 베이비'는 상상력이 미치지 않는 저 너머까지 꿈꾸면서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꿔가는 우리의 모습이다."

코오롱 원앤온리위원회는 2일 신년사를 통해 "이 아기가 내딛는 첫 발은 미지의 세계를 향한 거침없는 도전이고, 미래의 성공을 거머쥐기 위한 힘찬 도약"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위원회는 "그간 미래를 주도할 신사업들을 본 궤도에 올리고 경쟁자와도 과감히 손을 잡으며 글로벌 시장을 개척하는 등 앞을 보고 달려왔다"면서도 "미래의 승자가 되기엔 턱없이 부족하며, 더 크고 더 무거운 목표를 들어올리는 강한 코오롱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혁신의 빅뱅을 통해 우리를 완전히 바꿔야 한다"라며 "다시 태어나는 각오로 이 변화의 모멘텀을 살리지 않으면 우리 앞에 미래는 없다는 의미로 올해 경영지침을 '리버스(RE;BIRTH) 2019'로 정했다"고 덧붙였다.

위원회는 "모든 사업 영역에서 원앤온리를 목표로 전진해야 하며, 새로 출범한 위원회가 앞장서 이끌겠다"면서 "여러 회사의 경영현안을 조율하고 성장방향을 제시하며, 미래를 위한 과감한 투자를 위해 머리를 맞대겠다"고 밝혔다.

또한 "지주사를 중심으로 그룹이 보다 높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의 대안을 제시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모두 함께 해야할 과제가 있다"고 했다.

   
▲ 2019년 코오롱그룹의 경영지침인 RE;BIRTH(리버스) 2019를 상징화한 배지./사진=코오롱그룹


우선 개인·사업부·회사가 성공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명확하게 제시해야 하며, 고객의 미래와 미래의 고객을 내다보면서 시장환경 및 경쟁상황을 포함해 치밀하게 실행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위원회는 "보고체계·회의방식·KPI·인사 및 교육제도 등 모든 영역에서 효율성과 ROI를 철저하게 따져 기존 업무시스템의 변화를 꾀할 것"이라며 "'넥스트 미'를 양성하지 않는 리더는 먼저 도태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CFC의 확장도 언급했다.

위원회는 "공자천주, 공자도 아낙네에게 구슬 꿰는 방법을 배우듯이 변화와 혁신의 길에 직급과 나이는 중요하지 않다"면서 "위 아래, 안과 밖이 따로 없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우리 안에서는 아래로부터 배우는 리버스 멘토링 문화를 키워가야 한다"며 경험 많은 선배가 새로운 트렌드에 익숙한 후배들의 의견과 아이디어를 경청할 때 변화의 물꼬가 터지고 새로운 비전이 제시될 것"이라고 주문했다.

아울러 "이제 CFC의 경계를 외부로 넓혀야 할 때"라면서 "우리의 시선이 동종업종을 넘어 넓은 세상을 향할 때, 외부 경쟁자의 충고를 먼저 구하는 내부 전문가가 많아질 때, 강한 코오롱의 전진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이라고 촉구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