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한진 기자]글로벌 산업시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과거와는 다른 흐름의 판이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기업들의 몸부림도 더욱 거세지고 있다. 흐름에서 밀리면 다시 따라가기 어려울 수 있다는 위기감마저 감돌고 있다.
8일(현지시간)부터 11일가지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최대 전자·IT 전시회 ‘CES2019’에서도 이 같은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인공지능(AI)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고, 5세대(5G) 통신 시대 개막과 함께 초연결사회가 눈앞으로 다가오고 있다.
|
|
|
▲ CES 2019의 삼성전자 부스 전경 /사진=미디어펜 |
전자·정보기술(IT)·자동차 산업의 융합도 점점 더 가시화 되고 있다. 한 가지만 잘해서는 영향력을 유지하기 어려운 시장이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서로 날을 세웠던 기업들이 미래를 위해 손 잡는 일도 더 이상 어색하지 않은 일이 됐다. 생존을 위해서는 어제의 적도 오늘의 동지가 될 수 있다는 논리가 시장을 점점 지배하고 있다.
물론 우리 기업들도 이 같은 흐름에 동참하고 있다. CES2019에 참가한 삼성전자와 LG전자, 현대자동차 등 대표 기업들은 차세대 기술을 앞세워 시장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다른 글로벌 기업과의 파트너십도 잇달아 체결하는 성과도 거뒀다.
그러나 아직까지 소프트웨어 경쟁력은 하드웨어를 쫓아가지 못하는 모습이다. 이제 플랫폼이 시장의 흐름을 바꿀 수 있는 상황이다. 기업의 노력만으로 글로벌 선두주자들을 추격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냉정하게 우리의 4차 산업혁명 기술은 경쟁국들에 비해 뒤처지고 있다. 시간이 갈수록 더 격차가 벌어질 수 있다는 경고까지 나오고 있다. 지난해 한국경제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우리 4차 산업혁명 기반기술은 미국‧일본‧중국에 비해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4차 산업혁명 산업에 대한 규제와, 투자불확실성, 전문 인력 부족 등이 가장 큰 문제로 꼽힌다.
문제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속도다. 빠른 시간 안에 선두권과 격차를 좁히고, 시장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는 절체절명의 시기가 바로 지금이다. 우리의 기술력이 없으면 앞으로 해외 기업과 협업도 불가능하다. 서로 주고받는 게 있어야 파트너십도 가능한 얘기다.
|
|
|
▲ CES 2019의 LG전자 부스 전경 /사진=미디어펜 |
지난 15일 문재인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기업인들을 만나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했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20조원이 넘는 올해 연구·개발 예산을 통해 기술개발·인력양성·첨단기술의 사업화를 적극적으로 돕겠다”고 말했다. 또 “한국형 규제 샌드박스가 시행되면 신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혁신도 신속히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우리 대표기업들은 AI와 5G,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에 사활을 걸고 있다. 연구개발(R&D) 조직을 확보하고 인력을 늘리면서 잰걸음을 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가속 페달을 더 깊숙하게 밟기 어렵다. 정부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우선 안방에서 다양한 도전을 할 수 있게 해묵은 규제를 하루 빨리 걷어내야 한다. 노동계와 시민단체의 목소리만큼 기업 의견도 경제 정책에 반영될 필요도 있다.
더 이상 ‘책상위의 혁신’은 곤란하다. 기업들이 현장에서 피부로 느낄 수 있는 합리적인 경제 정책이 필요하다. 우리는 글로벌 시장에서 기업이 돈을 벌지 못하면 살기 어려운 나라다. 모두가 만족할 수는 없다. 이제는 정말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지금 제대로 된 결정을 내리지 못하면 소 도 잃고 외양간마저 무너져 내릴 수 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