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지방이전 마무리, 부동산 경기 부진 영향도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저출산 고령화 영향으로 국내 인구이동률이 3년 연속 낮은 수준에 그쳤다.

통계청이 29일 내놓은 '2018년 국내인구이동통계'를 보면 지난해 인구이동자 수는 729만 7000명으로 1년 전보다 2.0%(14만 3000명) 늘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인 인구이동률은 14.2%였다.

지난 1972년(11.0%) 이후 최저 수준이던 2017년(14.0%)보다는 0.2%포인트 상승했지만, 2016년(14.4%) 이후 3년 연속 14%대에 머물렀는데, 인구이동률이 3년 연속 15%를 밑돈 것은 1971∼1973년 이후 처음이다.

이동이 활발한 20∼30대 인구가 줄어들고 고령 인구가 늘어난 영향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2000년대 중반 시작된 공공기관 지방 이전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것도 인구이동률을 떨어뜨리는 요인이며, 부동산 경기 부진으로 주택 요인에 따른 인구이동도 소폭 감소했다.

시도 내 이동은 전체 이동자 중 486만 8000명(66.7%), 시도 간 이동은 242만 9000명(33.3%)으로, 전년과 비교해 시도내 이동은 2.6%, 시도간 이동은 0.8% 각각 늘었다.

시도별 전입률은 세종이 29.2%로 가장 높았고 경기·제주(15.9%)가 뒤를 이었으며, 전출률은 세종(18.6%), 서울(16.1%), 광주(15.5%) 순이었다.

전입이 전출 보다 많은 순유입 시도는 경기(17만명), 세종(3만 1000명), 충남(1만명) 등 5개인 반면, 순유출 시도는 서울(-11만명), 부산(-2만 7000명), 대전(-1만 5000명) 등 12개였다.

인구 대비 순이동자 비율을 보면 순유입률은 세종(10.6%)이, 순유출률은 서울·울산(-1.1%)이 가장 높았다.

특히 서울은 2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순유출을 기록했으며, 전입자의 50.7%는 경기에서 들어왔고 서울 전출자의 64.6%는 경기로 나갔다.

인구이동 사유는 주택이 40.0%로 가장 많았고 가족(23.3%), 직업(21.0%) 등이 뒤를 이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6만명이 순유입됐는데, 공공기관 지방 이전 요인이 줄어들며 2017년 순유입으로 전환한 뒤, 그 규모가 더 커졌다.

한편 지난해 12월 총이동자 수는 61만 7000명으로 1년 전보다 0.3% 늘었고, 인구이동률은 14.2%로 1년전(14.1%)과 비슷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