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취재 않고 앞으로도 고용악화 '낙인'...기자단 카르텔 '높은 진입장벽'에 '경쟁' 없어 실력도 노력도 '하향평준화'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지난 13일 '참사' 수준의 1월 고용성적이 발표됐다.
취업자가 1만 9000명 늘어나는 데 불과했고, 제조업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로 10개월 연속 감소했다. 실업률은 고령층을 중심으로 0.8%포인트 급등, 4.5%에 달했다.
이런 최악의 실적이 나온 것은 2가지 '일시적' 요인 때문이다.
우선 '기저효과'다. 전년동월대비로 취업자 증가폭을 계산하는데, 그 전해 1월 취업자가 33만 4000명 증가한 데 따른 부정적 영향이다.
다른 하나는 2월로 예정된 '노인일자리 사업'의 조기집행으로 노령층의 '구직 의사'가 갑자기 늘어나, '비경제활동인구'가 대거 '실업자'로 바뀌면서 65세 이상 실업률이 5.7%에서 10.0%로 급등한 탓이다.
이런 건 '마찰적' 요인이기도 하다. 평소에도 대학 졸업식 직후나 대기업 및 공무원시험 직전엔 실업률이 치솟는다.
정부도 이런 점을 충분히 설명했으나, 언론들은 귀담아 듣지 않았다.
고용악화를 넘어 당장 경제위기가 올 것처럼 호들갑을 떨었다. 발표가 아침 8시에 나왔는데, 다음날 아침 조간신문들까지 1면에 기사를 도배했다.
그런데 필자는 당일 오후 한 증권사에서 나온 보고서에 주목했다.
상기 요인들 때문에 당장 2월부터 취업자 10만명 대 중반 증가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다른 곳들은 어떻게 보고 있는지 기사검색을 해봤더니, 제대로 된 전망기사는 없었다. 경제기사는 수치가 나와야 하는데, 2월은 고사하고 상반기 취업자 증가전망 수치가 나온 기사도 거의 없었다.
취재도 하지 않고 무조건 앞으로도 '암담'하다는 식으로 몰아간 것이다. 막연한 예단으로 향후 고용악화 '낙인'을 찍은 것.
사실 이런 문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솔직히 필자도 예외는 아니지만, 절대 다수의 기획재정부를 비롯한 경제부처 출입기자들은 별로 취재도 하지 않고 제대로 분석할 실력도 없다.
그저 하루하루 쏟아지는 수많은 자료를 인터넷에 올리고, 지면 혹은 방송화면에 내보낸다. '앵무새'처럼 정부 발표를 옮기거나, 아니면 이번처럼 '무조건 패고 보자'는 식이다. 말이 되건, 안 되건.
써야 할 자료는 너무 많고, 서로 경쟁해야 할 언론사와 기자들도 너무 많다.
'비상구'는 있다. '출입기자단'이라는 '담합' 구조, '카르텔'이다.
기자단 소속 기자들끼리는 '엠바고'(보도시간 통제)라는 제도를 통해, 기자단 소속이 아닌 기자들에게는 선(先)기자단 가입이라는 '진입장벽'을 통해 '경쟁'을 제한하는 것이다.
암묵적으로 출입기자단의 대체적인 '보도 논조'가 미리 정해진다. 자료도 안 보고 엠바고 시간을 기다렸다가, 적당히 남의 기사를 베끼기도 한다. 언론마다 기사 내용이 비슷비슷해 지는 이유다.
그들끼리는 경쟁자이면서 '동료'이기도 하다. 거의 매일 얼굴을 보다 보니 친밀감도 있다.
그것은 관료들 역시 마찬가지다. 기자들 간에 취재 경쟁이 불붙으면 그들은 매우 불편해진다. 그래서 적극적으로 이 제도에 동조하고, 기자단 눈치를 보면서 비 기자단에는 각종 협조를 하지 않는다.
기재부 기자단은 특히 '문턱'이 높기로 유명하다.
기재부는 기자단이 아닌 경우 보도자료도 제공하지 않는다. 기자실에도 허락 없이 들어갈 수 없다.
악명 높은 1980년대 '군사정권의 후신'인 노태우 정권때도 이러지는 않았다. 당시에도 경제기자였던 필자는 이를 잘 안다. 브리핑이 끝나고 나가라(그리고 '봉투'를 나눠주기도 함)고 할 지언정, 못 들어오게 하거나 자료를 안 주지는 않았다.
대한민국의 언론과 경제기자들은 이렇게 21세기에 1980년대 같은 현실을 목도하고 있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이런 기자단의 '적폐'를 없애고자 했다가, 되레 '언론 탄압'을 하는 대통령으로 역공을 당하고 말았다.
이렇게 기자단이란 카르텔로 경쟁이 제한된 속에서, 기자들도 관료들도 실력과 노력이 '하향평준화'되고 있다. 더불어 대한민국 언론과 경제도 '도매금'이 된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