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와 여론에 막혀 멈춰선 신성장동력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글로벌 경쟁사인 메르세데스-벤츠와 BMW가 차량공유사업을 위해 동맹을 맺었고 많은 첨단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 이 분야에 뛰어들고 있다. 국내에서는 규제와 여론에 막혀 제대로 된 투자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 역시 해당분야 국내투자를 진행했지만 강도높은 규제와 택시업계 등 기득권반발에 밀려 투자를 회수했다. 글로벌 기업들이 앞다퉈 투자를 늘리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시작 조차 못하고 있다. 

   
▲ 하랄트 크루거 BMW 최고경영자(CEO)와 벤츠 모회사 다임러의 디터 체체 CEO가 악수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BMW그룹

벤츠 모회사 다임러의 디터 체체 CEO와 하랄트 크루거 BMW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2일(현지 시간)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조인트 벤처'를 설립했다고 밝혔다. 

두 회사는 10억유로를 투자해 차량 공유뿐 아니라 승차공유·주차·충전·복합운송 등 5가지 분야에서 협업할 계획이다. 양 측은 서로의 합작을 통해 차량공유서비스가 빠른 시일내에 급속한 성장을 이뤄 시장 지배적인 지위를 확보키로 했다. 

벤츠와 BMW의 연합은 차량관련 스타트업 발굴에도 주력할 계획이다.

과거 100년이상 치열한 기술력 접전을 벌여왔고 자동차 산업을 이끌어온 두 회사가 경쟁을 연합을 결정한 것은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신생기업들이 빠르게 추격을 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흐름에 뒤처지지 않기위해 글로벌 유수의 완성차 브랜드들이 연합을 맺고 있다. 

IT기업들의 대표적인 곳은 우버와 구글의 알파벳, 중국의 디디추싱 등이다. 일본은 토요타가 우버와 그램에 각각 6000억원, 1조원을 투자했다. 일본내 최대 통신사 소프트뱅크와 함께 합작사를 설립하기도 했다. 

현대차·기아차는 지난해 그랩에 총 2억7500만달러(약 3100억원)를 투자했다. 이는 현대차·기아차가 외부 기업에 투자한 사례 중 사상 최대 규모다. 이를 시작으로 지난해 7월에는 호주의 카넥스트도어, 뒤이어 인도의 레브에 투자했고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다. 

이는 차량공유 서비스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것이다. 미래 자동차 산업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원하는 차량'과 '운송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이 같은 데이터 수집은 시작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오히려 투자를 했다가 회수하는 웃지 못할 상황까지 벌어졌다. 해당분야의 규제 강화로 원활한 사업진행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같은 규제의 강도는 글로벌 차량공유업체 우버가 한국진출 2년 만에 철수 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현대차는 지난 2017년 8월 카풀서비스 업체인 럭시에 50억원을 투자하고 새로운 사업을 구상하고자 했다. 현대차의 새로운 시도에 스타트업 업체들도 환영하는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에 접촉되는 서비스 특성상 업계의 반발에 밀렸다. 

정부는 엄격한 카풀규제를 적용했고 현대차는  지난해 2월 럭시의 지분을 모두 매각했다. 

택시업계의 반발이 극심한 것도 중요한 요인이지만,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의 완화가 실패로 돌아가며 이 같은 사단이 났다. 정부 규제가 신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 사업의 싹을 자른 결과를 초래했다.

   
▲ 현대차 코나EV 그랩 카헤일링 서비스에 도입됐다. /사진=현대차

최근 현대차는 또 차량공유 업체의 지분인수를 시도했지만 이 역시 카카오 카풀 서비스에 심한 반발을 하고 있는 택시 기사들의 여론 때문에 잠정 중단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해당분야에서는 해외투자가 늘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제대로 시작된 사업이 없다. 

현대차가 투자했던 럭시를 인수한 카카오모빌리티도 같은 이유로 국내에서 진행하려던 사업을 해외로 돌렸다. 새로운 수익구조를 만들기 위한 사업을 정부의 규제와 여론에 막혀 시도조차 못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데이터의 축적이 사업의 미래를 가르는 차량공유 사업이지만 연구기반이 있는 국내에서 관련 데이터조차 축적을 못하는 상황이라면 국내 차량공유 산업이 뒤쳐질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