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우리나라 귀농자 가운데 절반은 도시 생활을 하다가 '고향'인 농촌으로 '유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귀농 5년이 지나면 우리나라 농가 평균을 웃도는 가구 소득을 올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해 10월부터 지난달까지 한국갤럽에 의뢰해 귀농·귀촌 2507 가구를 직접 방문해 조사한 결과, 귀농·귀촌은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돌아오는 경향이 두드러졌다고 11일 밝혔다.
귀농 가운데 53%, 귀촌 중 37.4%가 이 같은 성향을 보였다.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 생활을 거쳐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하는 'J턴'은 귀농의 19.2%, 귀촌의 18.5%이었다.
귀농·귀촌자들은 자연환경, 정서적 여유, 농업의 비전 등 대부분 '자발적' 이유를 댔다.
귀농은 '자연환경이 좋아서'라는 응답이 26.1%로 가장 많았고, '농업의 비전과 발전 가능성을 보고'라는 응답률도 17.9%를 차지했으며, '도시 생활에 회의'(14.4%), '가족 등과 가까운 곳에서 살기 위해'(10.4%), '본인·가족의 건강'(10.4%), '실직이나 사업 실패'(5.6%) 등의 대답이 나왔다.
특히 40대 미만의 청년층에서는 '농업의 비전과 발전 가능성'이라는 대답이 29.0%로 상대적으로 높았고, 중.장년층에서는 '자연환경이 좋아서'라는 응답이 28.0%로 가장 많았다.
귀촌의 이유로는 '자연환경이 좋아서' 20.4%를 비롯해 '가족 등과 가까이 살기 위해'(16.4%)·'정서적인 여유'(13.8%)·'도시 생활에 회의'(13.6%) 등이었다.
귀농·귀촌 10가구 가운데 6가구꼴로 생활에 전반적으로 만족했으며, 3가구는 보통, 1가구는 불만족하다고 답했다.
귀농이 불만족스러운 이유로는 '자금 부족'이 30.0%로 가장 많았고, 귀촌의 경우 '영농 기술·경험 부족'이 53.0%로 수위를 나타냈다.
귀농 준비 기간은 평균 27.5개월로 조사됐으며, 귀촌 가구의 19.7%는 귀촌 이후 5년 이내에 농업에 종사했고, 귀촌 다음 해인 2년 차에 농업경영체에 등록한 경우가 78.3%로 가장 많았다.
귀농 전 연 평균 소득은 4232만원이었고, 귀농 첫해에는 2319만원으로 조사됐으나, 평균 소득은 5년 차에는 3898만원까지 올라 농가 평균 소득 3824만원을 넘어섰다.
그렇지만 43.1%는 소득 부족 등의 이유로 농업 외의 경제활동을 했고, 귀촌 가구의 87.2%는 직장 취업·자영업·농업 등의 경제활동을 했다.
월평균 생활비는 귀농 가구 196만원, 귀촌 가구 213만원으로 집계됐다.
귀농 지역 선택 이유로는 '부모·친척이 사는 연고지'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이전에 살던 곳 근처'가 두 번째였다.
지역주민과 관계는 '좋다'는 이가 귀농은 76.9%, 귀촌은 62.5%였으며, '관계가 좋지 않다'는 비율은 귀농은 2.0%, 귀촌은 1.7%로 각각 나타났다.
지역주민과의 갈등 요인으로는 선입견, 텃세, 집·토지 문제, 생활방식에 대한 이해충돌 등이었으며, 확충돼야 할 공공서비스로 문화·체육 서비스를 가장 많이 꼽았고, 취약계층 일자리, 임신·출산·양육 지원, 노인돌봄서비스 등도 꼽혔다.
농식품부는 귀농·귀촌 교육과 컨설팅 지원이 강화돼야 할 필요성이 크다며 "농촌 정착 시 소득 부족 해소를 위한 일자리 지원 강화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