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성장률 2.6→2.5% 하향...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은 0.1%p 내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미중 무역마찰과 글로벌 교역둔화 등에 따른 수출감소, 제조업 구조조정에 따른 투자·고용 위축을 이유로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큰 폭으로 하향 조정했다.

한국은 통화정책 완화를 동반한 확장적 재정정책을 지속하고, 최저임금 인상 폭을 낮춰야 한다고 권고했다.

OECD는 21일 발표한 '경제전망'(OECD Economic Outlook)에서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2.4%로 수정 전망했다.

이는 지난 3월 발표한 중간 경제전망(Interim Economic Outlook)(2.6%)보다 0.2%포인트 하향 조정한 것으로, 지난해 11월 발표한 본 전망 2.8%에 견주면 6개월 만에 0.4%포인트 낮아졌다.

OECD는 미국이나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의 성장률은 올해 전망치를 상향조정한 반면, 우리나라는 떨어뜨렸다.

내년 성장률 전망도 중간 경제전망 때보다 0.1%포인트 낮은 2.5%로 하향 조정했다.

OECD는 글로벌 교역둔화 등에 따른 수출감소와 제조업 구조조정 등에 따른 투자와 고용의 위축으로 한국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다고 진단하고, 2018∼2019년 최저임금의 29% 인상으로 특히 저숙련 노동자들의 일자리 증가세가 부진, 2018년 고용증가율이 0.4%로 지난 2009년 이후 최저치를 찍었다는 분석도 내놨다.

고용상황은 올해 초 개선됐지만, 1분기 일자리는 대부분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일자리에 국한됐다고, 그 한계를 지적했다.

또 2020년부터는 확장적 재정정책 효과, 투자 회복에 힘입어 성장세가 잠재성장률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 정부는 성장세 둔화에 대응해 올해 정부지출을 9% 이상 확대하는 등, 확장적 재정정책을 추진중이라며 특히, 추가경정예산안은 경제활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2020년에도 재정확대 정책을 지속하고, 통화정책 완화를 동반해야 한다면서 노동생산성 향상에 초점을 두고, 최저임금 인상폭은 줄여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어 한국 정부가 해결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슈는 노동생산성이라며, 그간 저생산성을 장시간 노동으로 보완해왔지만, 주52시간제 도입과 생산가능인구 감소 등을 감안할 때, 생산성 향상이 필수적이라고 꼬집었다.

한국의 노동생산성은 OECD 상위 50% 국가의 절반 수준이라면서, 제조업의 절반 수준인 서비스업 생산성과 중소기업의 생산성 제고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OECD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2%로, 지난 3월 중간전망 때보다 0.1%포인트 낮췄고, 내년 세계 성장률 전망치는 3.4%로 유지했다.

세계교역이 지난해 3.9%에서 올해 2.1%로 큰폭으로 위축될 것으로 보면서, 2020년에는 3.1%로 다소 회복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면서 세계경제의 주요 리스크로는 보호무역주의 심화,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관련 불확실성, 중국의 경기둔화 등을 꼽았다.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3월 중간전망 당시의 2.6%에서 2.8%로 상향조정했고,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2%에서 2.3%로 올렸으며, 중국의 금년 성장률 전망치는 6.2%, 내년은 6.0%로 각각 유지했다.

OECD는 충분한 수요진작과 함께 하방리스크 완화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하면서, 세계경제의 추가 위축시에는 국가간 공조를 통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언하고, 통화정책은 선진국 중심으로 정상화 속도를 조절중인 가운데, 부채급증 등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거시건전성 정책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밖에 재정정책은 다수 국가가 완화 추세이며, 재정건전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확장적 재정정책은 적절한 조치라고 지적하고, 세계경제 하방리스크 현실화시 '다운턴 최소화'를 위해 국가간 공조된 확장적 재정정책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