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나광호 기자]대한상공회의소가 18일 국내 제조업체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우리 기업의 미래준비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대외경쟁력은 악화일로이고 4차 산업혁명을 활용한 신사업도 잘 진척되지 못하고 있어 성장 원천이 고갈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은 △샌드위치 현상 심화 △4차 산업혁명 신기술 활용 애로 △미래 수익원 부재 등 삼중고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 기업과의 경쟁력 격차에 대해 '비슷한 수준'(35.9%)이거나 '오히려 뒤처진다'(5.4%)고 답한 기업이 41.3%에 달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2010년 응답률(10.4%) 대비 4배 늘어난 수치다.
신흥국보다 앞선다는 응답도 '3년 이내'(31.6%)라는 응답이 '5년 이내'(18.5%)와 '5년 이상'(8.6%)을 합한 응답(27.1%)보다 많았다. 신흥국과의 경쟁력 격차를 유지·확대할 골든타임이 3년 밖에 남지 않았다는 것이다.
반대로 선진국과의 격차에 대해 '뒤쳐진다'고 응답한 비율은 10년전보다 20%포인트 가량 늘어난 61.2%에 달했으며, 국내 주력산업의 경쟁력이 '경쟁국 대비 강화 추세'라고 응답한 기업은 21.5%로 '약화 추세'라는 응답(35.7%)보다 적었다.
|
|
|
▲ 국내 제조업체들이 꼽은 애로사항/사진=대한상공회의소 |
기업들은 해외보다 열악한 국내 투자환경을 꼬집기도 했다. '국내와 해외의 투자환경이 별 차이 없다'(51.6%)는 의견이 과반수였지만, '해외가 낫다'(32.9%)는 답변이 '국내가 낫다'(15.5%)는 답변보다 2배 이상 많았다. 그 이유로는 '인건비 등 비용 낮음'(39.4%), '경제활력 높음'(32.7%), '기업활동에 인센티브 많음'(13.3%), '규제 강도 낮음'(11.5%) 순으로 조사됐다.
4차 산업혁명 기술 활용 여부에 대해서는 응답기업의 절반 가량(48%)이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일부 활용'과 '적극 활용 중'은 각각 46%, 6%로 집계됐다.
기업의 4차 산업혁명 활용 지원을 위한 정부의 정책 대응은 미흡한 것으로 평가됐다. 정책 분야별 대응의 충분성을 묻는 질문에 '규제 완화'(62.9%), '인력 양성'(62.7%), 'R&D 지원'(59.4%), '벤처·창업 지원'(50.6%) 순으로 '잘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많았다.
기업들은 미래 수익원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응답기업 3곳 중 2곳(66.9%)은 '미래 수익원이 될 수 있는 신사업을 확보하지 못했다'고 답했고, 이들 기업 중 상당수(62.0%)는 '대책도 마련하지 못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2010년 조사 당시 '미래 수익원 미확보'의 응답률은 28%였다.
신사업을 확보했다는 곳도 '성과 내는 단계'는 27.8%에 그쳤으며, 나머지는 '추진 중인 단계'(72.2%)라고 답했다.
|
|
|
▲ 미래 수익원 확보 실태/사진=대한상공회의소 |
현재 주력사업이 향후 얼마 동안 주요 수익원이 될지를 묻는 질문에는 '10년 이상'이 39.4%로 가장 많았으며, '5~10년'(31.5%), '3~5년'(21.9%), '3년 이내'(5.0%), '이미 상실'(2.2%)이 뒤를 이었다.
김문태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기술과 생활 패턴이 급변하면서 기존의 사업 모델로는 살아남기 어려운 시대가 됐고, 한국경제의 미래와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골든타임도 빠르게 흘러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업들은 신기술과 혁신적 아이디어로 다양한 사업모델 개발에 도전하고 정부도 새로운 기회와 시장을 만드는 쪽에 힘을 실어주는 방향으로 제도와 플랫폼을 정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경제와 사회 부문이 미래를 위해 선순환하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다수의 기업(83.6%)이 '경제 양극화와 사회적 대립이 서로 엉켜 양자 발전 모두 정체된 상태'라고 응답했다. '경제발전이 사회발전을 이끌며 선순환하고 있다'와 '사회발전이 경제발전을 이끌며 선순환하고 있다'는 응답은 소수에 그쳤다.
선순환 관계 복원을 위한 과제로는 '정부의 대안 마련과 리더십 발휘'(95.6%), '보수-진보의 소통'(94.9%),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의 기업격려'(94.2%) 등이 제시됐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