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저출생 고령화 빅데이터 분석 결과
   
▲ 어린이집 내부 [사진=연합뉴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기혼여성도 맞벌이가 불가피한 게 현실이지만, 정작 취업은 되지 않아 교육비와 주거비 부담 때문에 출산을 꺼리는 경향이 많고, 출산 여성에 대한 직장 내 차별, 경력단절도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고령화 시대에 가장 필요한 대책으로는 '노인 일자리'가 가장 많고 건강, 돌봄 문제 해결 순이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2017년 7월부터 금년 6월까지 누리소통망(SNS) 게시물 31만여 건을 바탕으로, '저출생 고령화'에 대한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3일 공개했다.

그 결과에 따르면, '저출생의 원인'과 관련한 빅데이터 연관어 중 '일자리', '교육(비)' 등 경제적 요인과 관련한 키워드의 언급량이 많았다.

일자리의 연관어로는 '맞벌이', '월급', '청년실업'이 상위에 등장했는데, 맞벌이가 불가피하지만 취업이 안 돼 출산을 꺼리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가장 크게 고민하는 비용은 '교육비'였으며 '주거비'가 뒤를 이었다.

저출생 원인과 관련해 '직장(문제)' 등 사회적 요인과 관련한 핵심어 언급량도 많았고, 직장과 관련한 연관어로 '차별', '경력단절' 등이 등장해 직장 내 차별, 여성의 경력단절을 출산의 걸림돌로 인식하는 모습이다.

'고령화 문제'와 관련해서도 일자리와 관련한 핵심어 언급이 많아, 은퇴 이후 소득이 없어 생활비, 의료비 등을 충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고령화 시대의 문제로 '건강'과 '독거노인'도 많이 거론됐으며, 건강 문제와 관련해서는 의료비 지원, 독거노인 문제와 관련해서는 돌봄 서비스 확충 필요성이 많이 지적됐다.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서비스 확충과 관련한 예산 투입에 대한 관심도 높아, '예산'이 연관어 상위에 올랐고, 저출생 정책과 관련해선 돌봄 서비스 지원에 대한 관심이 가장 많았으며, 양육비 지원, 일·가정 양립, 출산·임신 의료비 지원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

고령화 정책에서는 일자리, 돌봄, 연금 순이었다.

저출생 대책 중 돌봄 분야에선 국공립 어린이집 확대 등 보육 공공성 강화에 가장 주목했으며, 양육비 부담완화 분야의 최대 관심사는 아동수당이었다.

일·가정 양립 분야에서는 육아휴직 지원금 인상에, 출산·임신 의료비 지원 분야에서는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정책에 대한 관심이 각각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 대책 중 노인 일자리 분야에서는 양질의 일자리 확대에 가장 주목했고, 건강 분야에서는 건강관리 서비스와 치매 관리 서비스가 최대 관심사였으며, 연금 분야에서는 기초연금에 가장 많은 관심을 나타냈다.

인구정책과 관련한 인식 분석 결과에서는 '정년 65세 연장', '가족 형태'와 관련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년 연장과 관련해선 고령사회 진입에 따라 논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흐름 속에, 기업의 고임금 부담, 청년 세대와의 일자리 갈등이 우려 요인으로 꼽혔고, 가족 형태와 관련해선 '1인 가구'에 대한 관심이 가장 많았으며 '2인 가구'에 대한 관심도 상승 추세를 보였다.

문체부 국민소통실은 '누리소통망' 게시물을 통해 여론을 파악하고,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2013년부터 여론 거대자료를 분석해왔으며, 정부 혁신의 일환으로 앞으로도 정책 관련 여론 거대자료를 꾸준히 분석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정책을 추진하고 소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