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교과·비교과·수능 성적을 철저히 분석한 후, 전형을 찾아야...
[미디어펜=편집국]거인의어깨 김형일대표의 입시칼럼 ‘김형일의 입시컨설팅’에서는 올해 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과 학부모님들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내용으로 ‘2020학년도 입시칼럼’을 연재하고 있습니다. 복잡하고 어려운 입시를 자세히, 알기 쉽게 체크해 드립니다. 이번 주는 수시지원에 앞서 자신의 성적 즉, 교과등급별 준비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험생과 학부모님들의 올해 수시 입시전략 설정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편집자주>
|
|
|
▲ 김형일 거인의어깨 교육연구소 대표./사진=에스오지글로벌 |
이르면 6월 말, 늦으면 이번 주에 기말고사가 마무리가 된다. 고1~2 학생들은 자신의 부족한 과목 또는 기타 과제 등을 위해 노력하고 준비하겠지만 고3의 경우 입시체제로 전환을 해서 매진할 시점이다. 학교생활기록부는 매년 8월 31일 기준으로 수정, 변경이 어렵다. 이를 기준으로 수시에 지원하는데 자신의 성적들 즉, 교과・비교과・수능(모의고사) 성적에 대해 최종 점검을 할 시점이다.
대부분 자신의 학교생활기록부를 확인했다고 말하지만 몇 페이지만 넘겨서 질문을 하면 기억이 가물거리거나 잘 모른다고 답하는 학생들이 간혹 있다. 물론 잘잘못의 이분법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꼼꼼하게 살펴봐야 할 시점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탁상공론(卓上空論)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다. 실현성이 없는 헛된 이론이라는 뜻으로 마치 6개의 수시를 자신의 성적은 고려하지 않고 머릿속에 있는 대학만 지원하는 모습과 흡사한 상황일 수 있다.
◈ 1등급 교과성적 수험생
상위권 학생은 자신의 성적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뉠 수 있다. 첫째, 교과성적만 우수한 학생 둘째, 교과성적보다 수능성적이 우수한 학생 마지막으로 학생부도 우수하면서 수능성적까지 우수한 학생이다.
첫째, 1등급 초반의 교과우수자의 경우를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비교과와 수능성적이 불리하여 교과전형을 중심으로 대학을 선정할 수 있다. 다만,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어느 대학까지 맞출 수 있는지에 대한 스스로의 판단이 필요하다. 무리할수록 합격의 가능성은 점점 멀어지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수능최저학력을 적용하지 않는 대학도 안정권으로 생각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둘째, 교과성적 대비 평소 수능 모의고사 성적이 우수한 경우다. 6월 모의고사 결과를 토대로 9월 모의고사 성적까지 확인하여 자신의 수능성적 즉 정시로 대학을 지원할 경우 어느 대학까지 지원가능한지 확인해본다. 이를 토대로 논술전형 지원을 염두하고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가 필요하다. 수능 영역별 학습에 부담을 주지 않는 선에서 미리부터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학생부가 비교적 탄탄한 경우인데, 학생부종합전형을 기준삼아 대학을 조정한다. 비교적 우수한 교과성적을 배경으로 전공적합성과 발전가능성 등의 평가요소에서 어느 부분이 강점인지 파악하고 반대로 단점을 찾아보고 이를 어떻게 보완, 극복했는지도 점검해보자. 또한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하는 대학에 지원할 경우 이를 충족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흔들리지 않는 수능 성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한다.
◈ 2~3등급 교과성적 수험생
이 성적을 가진 고3 수험생이 가장 고민을 하고 여러 전형을 함께 고려하기도 한다. 1등급의 수험생보다 각각의 성적 편차가 크기에 논술전형, 학생부위주전형, 정시전형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보통 2등급의 교과와 수능성적의 수험생은 수시에 논술전형으로 상위권 대학을 생각한다. 통상 2등급 대의 수험생이라면 정시로 서울소재 대학에 무난하게 지원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는 논술전형을 선택하면 실질 경쟁률은 현저히 낮아져 상대적으로 유리해질 수 있다.
학생부위주전형으로 대학을 합격한 자료를 보면, 대부분 2등급에서 3등급의 분포가 상당히 많다. 따라서 교과전형 또는 종합전형을 통해 상향, 적정, 안정 등으로 구분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 참고로 교과전형은 정량적, 종합전형은 정성적 평가이므로 교과전형으로 합격예측이 가능한 대학을 지원한다. 단, 교과전형의 경우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하는지 확인한다. 종합전형을 준비하는 수험생은 자기소개서 및 면접 등 서류와 대학별고사 준비도 철저히 하도록 한다.
2~3등급의 교과, 수능(모의고사) 성적을 보유한 수험생은 수시전형에서 대부분 교과전형을 선택한다. 종합전형이나 논술전형은 장시간의 준비과정과 노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쉽게 지원하기 어려운 전형이다. 또한 수능(모의고사) 성적에 대해 불안한 학생의 경우 더 교과전형을 고려하게 된다. 원서접수로 모든 과정이 마무리되어 손쉽게 지원할 수 있다. 다만 수시에 합격한 수험생은 정시에 지원할 수 없기에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
◈ 4~5등급 교과성적 수험생
4~5등급 성적을 가지고 있는 수험생의 첫 번째 목표가 서울 또는 수도권 대학진학이다. 그러다보니 교과전형 내의 적성고사전형을 도전한다. 물론 일반고 출신 수험생의 일반적인 경우이다. 간혹 논술전형을 준비하는 수험생도 있긴 하지만 특히 자연계열인 경우 수리논술 또는 수리, 과학(선택) 논술의 경우 자신의 성적수준과 차이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그중 비교과를 착실하게 준비한 경우라면 수도권 대학에 종합전형으로 지원해볼만 하다.
교과전형으로 수도권 대학의 합격등급은 평균 3등급으로 봐도 무방하다. 결국 지방 소재 대학을 지원해야 하는데 대학마다 교과과목의 산출방식과 학년별 가중치가 다르므로 자신에게 알맞은 대학을 찾아보도록 한다. 특히 지방의 경우 지원자간의 성적차이가 촘촘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요행을 바라는 마음으로 지원해서는 안 된다.
반대로 지방 대학을 선택해야 할 경우라면, 학교보다 자신이 희망하는 학과 중심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일 수 있겠다. 학교와 학과 즉,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지 못한다면 한 마리 토끼인 ‘학과’를 살펴보고 자신의 적성에 가장 부합하는 분야를 택하도록 하자.
마지막으로 자신의 교과성적을 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대학, 전형, 학과는 무엇인지 스스로가 자가 진단표를 통해 지원전략을 수립하도록 하자. 글/김형일 거인의어깨 교육연구소 대표
[미디어펜=편집국]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