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미국 자동차부품 공장 [사진=현대모비스 제공] |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글로벌 경기둔화 대응을 위해서는 '통화정책 뿐만 아니라, 재정정책도 병행해야 한다'는 해외 투자은행(IB)들의 주문이 나왔다.
최근 주요국 통화정책이 완화적으로 선회한 것과 달리, 재정정책 기조에는 큰 변화가 없어 '내년에는 올해보다 각국 재정확장 규모가 감소할 전망'이므로, 재정부양효과 축소 가능성과 두 정책간 보완성을 고려할 때, 경기둔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재정정책도 필요하다는 것.
골드만삭스와 씨티은행은 최근 보고서에서, 내년에는 선진국과 신흥국 모두 올해보다 재정확장 규모가 축소될 전망이라며, 이로 인해 선진국의 경우 '즉각적 재정부양효과가 올해 1.5%포인트에서 0.1%포인트까지 축소'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신흥국은 상대적으로 낮은 재정승수로, 선진국보다는 '부양효과 감소 정도가 적을 소지'가 있다고 덧붙였다.
또 주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을 분석한 결과,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을 같이 시행했을 때 단일 정책만 시행한 경우보다 '실질 경제성장률과 인플레이션율이 더 많이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통화가치 절상도, 장.단기금리차 확대폭도 '두 정책을 조합했을 때 더 큰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씨티은행은 "미국의 경우, 올해 성장률이 0.5%포인트 가량 진작됐던 효과가 '내년에는 소멸'될 예정"이라며 "중국도 상반기에 집중됐던 재정부양책으로 '하반기 재정지출 증가율이 대폭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골드만삭스는 "유럽의 경우, 실질 국내총생산(GDP)과 인플레율 중 '통화정책은 실질 GDP, 재정정책은 인플레율을 높이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커서, 서로를 보완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미 연방준비제도(연준)과 유럽중앙은행(ECB) 등 주요국들이 '정책금리 인하 여력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만큼, 경기둔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책 간 보완효과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