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낮췄지만 예금금리나 대출금리 등 시중금리는 큰 변동이 없을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LG경제연구원은 24일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에도 대출금리 추가 하락 폭 크지 않을 듯'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기준금리 인하 이후 오히려 채권수익률이 상승세로 돌아서고 있다"며 이같이 내다봤다.

금융회사들은 자금조달 수단으로 채권을 많이 활용하기 때문에 채권수익률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채권수익률은 기준금리가 인하되기 전에 하락 예상분을 미리 반영한다.

2012년 10월 한은이 기준금리를 3%에서 2.75%로 낮추기 전부터 3년 만기 국고채 수익률은 이미 2.71%까지 하락했다. 또 2013년 5월 2.75%에서 2.5%로 인하할 당시 채권수익률은 2.44%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추가적인 금리 인하 기대가 약화되는 경우나 금융시장의 불안이 심화되는 경우 금리가 인하되더라도 채권수익률이 상승한다.

지난해 5월 버냉키 쇼크로 금융시장이 불안에 휩싸이자 기준금리가 떨어져도 채권 수익률은 상승했다. 당시 기준금리가 2.75%에서 2.5%로 하락했지만 2.44%였던 국고채 수익률은 3.12%까지 높아졌다.

또 은행의 수신금리와 여신금리를 잇는 코픽스 금리 역시 기준금리 인하에도 3개월간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 금리 하락 폭은 0.11%포인트에 그쳤다 이는 기준금리 인하 폭인 0.25%포인트의 절반도 되지 않는 수준이다.

조영무 연구원은 "채권수익률이 상승세로 전환됨에 따라 기준금리 인하에도 은행 예금금리와 코픽스 금리, 대출금리의 하락폭이 크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