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외채, 외국인 국채투자·외은지점 차입이 대부분
   
▲ 기획재정부 앰블럼 [사진=기재부 제공]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대외건전성 지표인 단기외채 비율이 2분기 들어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부는 외채건전성이 여전히 양호한 수준인 데다, 유입자금의 성격을 고려할 때 건전성 악화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21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우리나라의 준비자산 대비 단기외채 비율(이하 단기외채비율)은 34.7%로 3개월 전보다 2.8%포인트 상승했고, 대외채무에서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이하 단기외채비중)도 30.3%로 전분기보다 0.9%포인트 높아졌다.

단기외채비율은 지난 2015년 2분기 이후 4년 만에, 단기외채비중은 2013년 1분기 이후 6년 3개월 만에 가장 높다.

그러나 기재부는 단기외채비율이 상승했지만 외채 건전성은 여전히 양호하다고 평가했다.

"단기외채비율과 단기외채비중이 상승했지만 여전히 30%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과거 위기 때나 다른 신흥국 상황에 비해서도 크게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지난 2008년 9월 말 한국의 단기외채비중은 52.1%, 단기외채비율은 79.3%에 달했었다.

기재부는 "2분기 대외채무는 주로 외국인의 국내 국고채·통안채 투자 증가 및 외은지점의 본점 차입 때문"이라며 "우리나라의 상환능력 등 대외건전성과는 관련성이 적다"고 설명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