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은행권이 대규모 원금 손실이 예상되는 해외 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중 절반 가까이를 65세 이상 고령층에 판매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DLF 매수자 10명 중 2명은 이전까지 펀드 등 투자 상품을 사본 적이 없었던 것으로 나타나 은행들이 고위험 상품을 무리하게 추천했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25일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이 지상욱 바른미래당 의원에게 제출한 DLF 현황 자료에 따르면, 우리은행이 개인에게 판매한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 연계 DLF 잔액은 19일 기준 934억원, 하나은행이 개인에게 판매한 영국·미국 이자율스와프(CMS) 금리 연계 DLF 잔액은 16일 기준 3488억원이었다. 총 4422억원 규모다.
두 은행이 고령층 고객에게 판매한 DLF 상품 잔액은 2020억원으로 확인됐다. 이는 전체 금액의 45.7%로, 절반 가량이다. 투자자 수로 보면 고령층 고객이 768명으로, 전체 투자자 2043명 중 37.6%를 차지하고 있었다.
고령층 고객의 해당 DLF에 대한 평균 보유액은 2억6300만원으로 전체 평균인 2억1600만원보다 4700만원 더 많았다.
아울러 고령층에게 고위험 상품은 부적합 상품으로 분류된다. 상품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질 수 있고, 원금 손실이 클 경우 복구할 수 있는 기대 여명이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이다. 이에 DLF 투자자 중 65세 이상 고객이 많다는 것은 은행 측이 무리하게 권유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또 두 은행에서 DLF를 사들인 투자자 10명 중 2명은 이전까지 펀드 등 투자 상품을 사본 적이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은행에서 독일 관련 DLF에 투자한 고객 중 16%는 과거 펀드 가입 경험이 없다고 답했고, 하나은행 DLF 투자 고객 역시 18.1%가 주가연계펀드(DLF)나 DLF 투자 경험이 없다고 말했다.
고위험 상품에 투자해본 경험이 없는 예·적금 위주 안정적 성향 고객에게도 고위험 상품을 추천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어 은행들의 부당권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실적 위주의 은행 성과 평가방식이 DLF 논란을 불렀다는 비판도 커지고 있다. 은행들은 영업직 평가 기준이 되는 핵심성과지표(KPI)를 개편해 고객 수익률의 평가 배점 비중을 높이기로 했다. 우리은행은 KPI에 고객관리지표를 신설하기로 했고 하나은행은 하반기부터 적용되는 KPI의 고객 수익률 비중을 상향 조정할 방침이다.
이와 별도로 금융감독원은 지난 23일부터 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의 주요 판매창구인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을 대상으로 합동검사에 착수했다. 현재 금감원에는 두 은행의 불완전판매를 주장하는 분쟁조정 신청이 60여건 접수된 상태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