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을 통한 중국 우회수출 차질 우려...서방 제재 시 한국 충격 불가피
   
▲ 홍콩 시위대가 60km의 인간띠를 만들어 스마트폰 손전등으로 불을 비추고 있다. [사진=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제공]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홍콩시위가 지난 주말 첫 실탄발사가 이뤄지는 등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가운데, 이 사태가 한국 경제에도 '주름살을 더욱 깊게 할 지' 주목된다.

이미 대외 무역마찰에 따른 경기하강 압력이 뚜렷한 상황에서, 홍콩시위가 중국 정부의 무력개입으로 이어질 경우, 한국 경제는 미중 무역전쟁과 일본 수출규제에 이어, '또 하나의 짐'을 떠안으면서, '대외 악재의 3중고'에 시달릴 가능성이 높다.

한국의 대홍콩 수출은 460억 달러로, 한국 전체 수출의 7.6%를 차지한다.

그 94%가 홍콩을 경유해 제3국으로 재수출되고, 그 중 90%가 중국향으로, 홍콩은 사실상 '중국으로 향하는 또 하나의 관문'이다.

품목별로 봐도, 상위 20개 품목 중 14개가 겹치며, 반도체와 석유제품 및 석유화학제품 등, 중간재가 대부분이다.

특히 '홍콩 수출의 73%가 반도체'로, 중국 ICT산업 중심지인 '심천으로 재수출'된다.

중국이 무력 개입을 할 경우, 단기적으로 항만 및 공항 서비스 제공이 중단, 수출 차질이 예상된다.

한국 기업들은 세제 혜택과 무역금융, 중국과의 직접거래 시 발생 가능한 법적.제도적 위험 완화 등을 이유로 '홍콩으로의 우회 수출'을 선택하는데, 이 우회가 봉쇄되면 '일시적 수출 차질'은 불가피하다.

하지만 시차를 두고 중국 향 수출은 회복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홍콩시위를 중국이 무력 진압할 경우, 이를 빌미로 '서방 국가들의 경제 제재가 취해질 가능성'이 높고, 이 경우 교역 타격이 심화될 수 있다.

미중 무역전쟁이 심화되는 와중에서 중국의 경기 하방 압력은 확대될 수밖에 없고, 대중국 수출(우회수출 포함) 의존도가 35%에 달하는 한국경제에는 '치명적 상황'이 될 수 있다.

지난해 4분기부터 중국 수요 위축이 본격화되면서, 한국의 대중국 수출은 전년대비 감소하고 있다.

'금융시장에서도 일부 불확실성'이 발생할 수 있다.

국제통화기금(IMF) 서베이에 따르면, 한국의 홍콩에 대한 직접투자는 141억 달러로 전체 직접투자의 4% 수준이며, 주식투자의 비중은 전체의 2.3%, 채권투자 비중은 2% 내외다.

국제결제은행(BIS)에서 발표한 1분기 한국 금융기관의 홍콩 익스포저는 88억 달러로, 전체 익스포저 1900억 달러의 4.7% 수준이다.

반면 국내에 유입된 홍콩계 자금은 전체 해외자금의 3% 수준으로, 직접투자는 3.2%이고 주식은 0.5%에 불과한 반면 채권투자의 비중은 10% 내외로 높은 편이어서, 불확실성 확대 시 변동성 확대가 우려된다.

홍콩과의 직접 금융거래 규모는 미미한 편이다.

관건은 지난 1989년 '천안문 사태' 때처럼 중국의 무력개입 이후 '서방 국가의 국제사회 제재 자극'이다. 이 경우 '중국 경기 악화와 함께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하다.

한국은 금융보다 실물경제 측면에서의 대 중국 노출도가 높아, '실물경제 하방 압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