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오는 10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양적완화조치가 종료되는 것에 대해 "우리 경제의 기초체력(펀더멘탈)을 감안할 때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감원은 외환감독국은 4일 '글로벌 금융시장 잠재리스크 요인과 국내 외화 차입·유동성 현황' 이라는 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잠재리스크 요인들이 당초 예상을 크게 벗어나 현실화되거나,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할 경우 시장 충격이 우려된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세계 금융시장의 잠재 위험 요인으로 ▲미국 양적완화 종료에 따른 기준 금리 조기인상 ▲중국 경기 둔화 ▲신흥국 경제불안 및 지정학적 불안 ▲세계경제 회복 지연 가능성 등을 꼽았다.

금감원은 "미국의 양적완화 종료에 따라 기준금리 인상 시기 등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조기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경우 신흥국 투자자금이 유출되면서 국내외 금융시장에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최근 부동산시장 침체와 생산·소비 부진 등의 영향으로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이 당초 목표치(7.5%)를 밑돌 가능성이 있다"며 "국내 금융회사들이 중국시장에 적극 진출했기 때문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아울러 "아르헨티나의 디폴트, 브라질의 적자 지속, 이스라엘·하마스 무력 충돌 등으로 신흥국 경제 불안이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금감원은 또 "유로존 주요국의 경제가 위축되면서 2분기 경제가 제로(0) 성장을 보였고, 일본의 경우 소비세 인상으로 민간소비가 위축되면서 2분기에는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며 "세계 경기회복 지연이 대외의존도가 높은 국내 경제 회복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금감원은 국내은행의 외화 유동성에 대해 "국내은행의 외환 건전성 비율이 모두 지도 비율을 크게 웃돈다"며 "모든 국내 은행들이 지난 7월 말 실시한 외화유동성 스트레스테스트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금융시장 외화 차입여건 등을 주시하며, 대내외 위험요인을 조기에 포착하기 위해 국내 금융회사 뿐 아니라 차주별·기관별로 입체적인 점검을 실시할 방침이다.

또 세계 금융시장 잠재리스크에 대비해 현재의 '보수적 외화유동성 관리기조'를 당분간 유지하고, 위기가 현실화될 경우 외환부문 비상계획(컨틴전시 플랜)에 따라 단계별로 대응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