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북미 간 비핵화 실무협상이 두 번의 예상 시기를 넘기면서 10월 이후로 연기됐다. 그만큼 북미 간 기싸움이 치열한 것으로 그 결과도 쉽게 예상하기 힘들게 됐다.
앞서 지난 6월30일 판문점에서 남북미 정상이 전격 회동하면서 2~3주 이내 실무협상을 열기로 합의했다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밝혔지만 성사되지 못했다. 이후 또다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으로부터 친서를 받았다고 밝히면서 한미 합동군사훈련이 끝나면 실무협상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지만 이 역시 불발됐다.
최근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부장관은 26일(현지시간) 유엔총회가 열리고 있는 뉴욕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우리는 북한과 만날 날짜를 아직 가지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 팀은 그들(북한)과 만날 준비를 해왔다”며 “나는 그렇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런 가운데 김정은 위원장이 북중 수교 70주년 기념일인 10월6일 전후로 중국을 방문할 가능성이 관측됐다. 이럴 경우 북미 실무협상은 10월 중순 이후로 개최 시기가 밀릴 전망이다.
김 위원장의 방중은 앞서 이달 2~4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평양을 방문하면서 제기돼왔다. 당시 왕이 부장은 리용호 북한 외무상과 북중 외교장관회담을 가졌고, 이때 김정은 위원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정상회담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을 것으로 관측됐다.
김 위원장의 방중이 성사된다면 북한은 미국과 실무협상을 앞두고 ‘중국 뒷배’를 활용하려는 의도로 보여 미국에 부담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미국 민주당이 추진 중인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 표결이 북미 실무협상에 또 다른 변수가 될 수 있다.
미 월스트리트저널은 28일 이르면 10월 말 트럼프 대통령 대한 탄핵안 표결이 실시될 수 있으며, 일명 ‘우크라이나 의혹’에 대한 미 의회의 탄색 조사를 지지하는 여론도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7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전화통화하면서 민주당의 유력 대선주자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 부자의 비리 의혹을 조사해달라고 종용했다는 ‘우크라이나 의혹’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실무협상에 임할 두가지 행동 가능성을 예고했다.
|
|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6월30일 오후 판문점 '자유의 집'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조선중앙통신
|
그 중 하나는 상원에서 탄핵안이 가결될 가능성이 낮지만 하원에서 통과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마침 그 시기가 겹친 북미 실무협상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빅딜’을 고수해 지난 2월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합의가 결렬된 상황을 재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차기 대선을 고려해 국내 여론을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이럴 경우 북한 비핵화 협상에서도 ‘선 핵포기 후 보상’을 고수하면서 대북제재에도 고삐를 쥘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가능성은 자신에 대한 탄핵 정국을 북미 실무협상으로 정면돌파하는 것으로 ‘우크라이나 의혹’이 나오자 아예 스스로 통화 녹취록을 공개한 트럼프 대통령이라면 앞으로 전격 평양을 방문하는 깜짝 이벤트로 뉴스를 잠식하는 전략을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럴 경우 북한이 주장해온 ‘스몰딜’이 가능한 것으로 영변 핵시설 폐기와 일부 대북제재 완화에 합의하는 협상이 나올 수 있다.
이런 가운데 김성 유엔주재 북한 대사가 28일 뉴욕 컬럼비아대학에서 열린 ‘2019 글로벌 평화포럼’에 참석해 북미 실무협상에 대해 “시점이 낙관적”이라고 했다. 앞서 김계관 외무성 고문이 전격 담화를 내고 미국에 대한 불만을 나열하면서 “정상회담의 전망이 어둡다”라고 말한 것에 이은 것이어서 북한이 강온 양면전략을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북한은 앞으로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지난 ‘하노이 노딜’을 재연하지 않기 위해 총력전을 전개할 것으로 보인다. 하노이회담 이후 지속으로 요구해온 ‘새로운 셈법’에 대한 확신이 서지 않는 상황에서 실무협상을 쉽게 열지 않겠다는 기싸움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유엔총회 기조연설이나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한이 요구해온 ‘새로운 계산법’에 대해 특별한 언급이 없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6.12 싱가포르 1차 북미정상회담 합의를 기초로 협상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한 바 있다.
결국 탄핵 위기에 몰린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북한 문제에서도 자신의 재선에 유리한 선택을 할 수밖에 없게 됐다. 사상 초유의 북미 정상회담을 개최한 대통령으로서 북한의 핵실험을 중단시켰다는 치적으로 포장하는 것으로 마무리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노벨상까지 노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핵동결 및 비핵화 로드맵을 이끌어내는 마지막 수완을 발휘할 가능성도 남아 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