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 2, 3차 총파업에 돌입한다. KB금융 사태 등 민간금융의 문제를 전면에 내세웠던 지난 3일 총파업과는 달리 금융공기업에 대한 정부의 일방적·획일적 복지축소를 반대하는 파업이다.

금융노조는 16일 서울 다동 금융노조 투쟁상황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올해 금융권 산별중앙교섭 결렬과 금융노조 총파업을 야기시킨 1차적 원인은 금융공기업에 대한 정부의 가짜 정상화 강요에 있다"고 밝혔다.

이번 파업은 ▲산업은행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등 6개 금융공기업지부가 중심이 된다.

요구사항이 해결되지 않을 경우 이들은 이달 30일 2차 시한부 파업과 10월10일 3차 전면 파업, 11월 이후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갈 방침이다.

김문호 금융노조 노조위원장은 "앞으로의 파업은 지난 1차 파업과는 다른 강도로 진행된다"며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등의 당좌 업무까지 마비시키는 사상 초유의 파업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공공기관의 과다부채와 방만경영은 4대강 사업 등 지난 정권의 정책실패와 낙하산 인사들로 인해 빚어진 일부 공공기관의 폐해일 뿐이라는 게 노조의 입장이다. 오히려 금융공기업들은 정부와 국회로부터 각종 규제 및 통제 하에서도 민간금융기관과 치열하게 경쟁하면서 높은 성과를 창출해 왔다는 것이다.

홍완엽 기업은행 노조위원장은 "기업은행은 각종 규제에도 민간은행과 경쟁하며 매년 1조원씩 흑자를 내고 있으며 지난 5년간 1조원이 넘는 배당금을 정부에 지급해 왔다"며 "이는 정부출자기관 배당수입총액의 39%에 달하는 금액"이라고 말했다.

홍 위원장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십년간 이뤄온 노사단체협약을 아무 근거 없이 무시하는 행태에 대해 조합원들이 분노하고 있다"며 총파업 의지를 다졌다.

김대업 산업은행 노조위원장은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 등은 특수성을 인정하면서 금융공기업들에게 복지 축소를 강요하느냐"며 "정부는 금융공기업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합리적인 방안을 찾아 금융산업의 발전과 금융노동자의 삶을 향상시키는 데 함께하기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