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현장 국무회의 "아세안과 함께 아시아 평화와 공동번영 열것"
"외교정책 변화, 4강외교에 머물지 않고 아세안 외교와 교역 도약"
[미디어펜=김소정 기자]문재인 대통령은 12일 이달 말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한-메콩 정상회의에 대해 “지난 2년반동안 우리정부가 진심과 성의를 다해 추진해 온 신남방정책의 중간 결산”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부산 벡스코에서 현장 국무회의를 열고 모두발언을 통해 “오는 11월25일부터 이곳 부산에서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30주년 기념하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가 열린다”며 “우리정부 들어 국내에서 열리는 최대 규모 다자 정상회의이자 한-아세안의 공동 번영을 위한 중요한 외교 행사”라고 말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신남방정책은 대한민국 국가발전전략의 핵심”이라며 “아세안은 세계 어느 지역보다 성장이 빠르고 앞으로 성장 잠재력도 매우 크다. 우리는 아세안과 함께 아시아 평화와 공동번영의 미래를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문재인 대통령과 이낙연 국무총리, 오거돈 부산 시장 등이 12일 오전 부산에서 국무회의 환담장으로 이동하고 있다./청와대

문 대통령은 “이번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로 한국은 자국에서 아세안과 세차례 이상 특별정상회의를 개최하는 최초의 나라가 됐다”며 “아세안과의 두터운 신뢰를 바탕으로 미래동반성장의 상생협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한-메콩 정상회의는 그동안 외교장관회의로 개최해온 것을 정상회의로 격상해서 처음으로 열리는 것”이라며 “제가 지난 9월 메콩 국가 순방에서 발표한 한-메콩 비전을 구체화하고 앞으로 협력의 폭을 더욱 넓혀나가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문 대통령은 “우리정부의 외교정책은 두가지 점에서 과거 정부와 다른 큰 변화를 실천하고 있다”며 “하나는 대화와 외교를 통한 한반도 문제 해결을 추구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기존의 4대국 중심 외교에 머물지 않고 아세안 지역과의 외교와 교역관계를 크게 도약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 일환으로 정부는 출범 이후 아세안 국가들과의 협력 강화에 꾸준한 노력을 기울여왔다”며 정부 출범 직후 아세안에 특사 파견과 올해까지 아세안 10개국 순방을 마무리한 점을 언급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아세안 국가들과의 협력관계는 외교‧경제‧인적‧문화적 교류 등 모든 면에서 전례 없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사람‧상생번영‧평화를 핵심 가치로 하는 공동번영의 미래를 여는 기반으로 단단해지고 있다”며 “지난주 태국 방콕에서 열린 아세안관련 정상회의는 이를 재확인하는 기회였다”고 밝혔다.

특히 우리나라와 아세안 10개국이 모두 참여하고 중국 호주 일본 뉴질랜드까지 포함하는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알셉) 협정문이 타결된 것을 언급하며 “알셉은 세계 인구의 절반 GDP의 1/3 교역 30퍼센트를 차지하는 세계 최대의 메가 FTA이다. 내년에 있을 최종서명에 인도까지 참여한다면 그 의미는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오전 부산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청와대

문 대통령은 “우리경제의 외연 확대와 한-아세안 상생 번영을 위해 자유무역 증진은 필수”라며 “이 점에서 알셉 타결은 우리와 아세안 간의 투자교역 여건을 개선하고 신남방정책을 더욱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내년 최종서명을 통해 세계 최대 규모의 자유무역시장이 열리고, 자유무역 가치의 확산에 큰 역할을 하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에게는 신북방정책과 신남방정책을 통해 대륙과 해양을 연결하는 교량국가로 평화 번영을 선도하겠다는 포부가 있다”며 “이곳 부산은 아세안으로 통하는 바닷길과 항공길이 시작되는 길이다. 대륙과 해양을 잇는 부산에서 공동번영과 평화를 실현하기 위한 한국과 아세안의 지혜와 역량이 하나로 모아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부산 벡스코 국무회의는 지난 백범기념관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 이은 세번째 현장 국무회의다. 문 대통령은 “범정부 차원의 역량을 결집하고, 국민적 관심과 성원 모으는 한편, 준비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개최도시 부산에서 현장 국무회의를 열게 됐다”고 밝혔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