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 기자, 금감원 해명자료에 더 '발끈'

파이낸셜 뉴스가 8일 ‘PF 대출많은 저축은행 부실공포에 시름’, ‘저축은 PF 대출 2조 폭탄’의 2개의 기사를 썼지만, 금융감독원은 해당 기사의 핵심 자료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고 공식 해명자료를 배포했다.

파이낸셜 뉴스는 8일 “올해와 내년에 만기가 도래하는 저축은행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규모가 2조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돼 구조조정 건설사에 PF 대출이 물려 있는 저축은행들 사이에 위기감이 고조되어 있다”고 보도했다.


금감원이 9일 해명자료를 낸 파이낸셜 뉴스의 해당 기사.
▲금감원이 9일 해명자료를 낸 파이낸셜 뉴스의 해당 기사.



이에 대해 금융감독원 저축은행서비스국 관리지도팀의 조성래 팀장은 “2조원은 사실과 다르다”면서 “정확한 수치는 비공개 정보여서 알려줄 수는 없지만, 그 정도로 크지는 않다”고 전화로 확인해 줬다.

또 조성래 팀장은 “또 파이낸셜 뉴스가 폭탄이라고 표현했지만, 만기가 도래해도, 분할 상환 또는 연장 상환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폭탄이 폭탄이 아니다”고 일축했다.

PF 대출의 만기시점이 문제가 아니라, 만기 시점에서 롤 상환 즉, 연장 상환이 되느냐, 안되느냐가 변수라는 지적이다.

또 조성래 팀장은 “파이낸셜 뉴스의 기사중에 감사원의 요구로 감독원이 조사를 했다는 것이 근거없는 사실임을 증명한다”면서 “감독원은 자체적 감독권한이 있는 것이지, 왜 감사원의 요구로 감독원이 조사를 하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조 팀장은 “조만간 해당 기사에 대해서 밀도있는 보도자료를 내겠다”고 덧붙였다.

해당기사를 작성한 파이낸셜 담당기자는 “해명자료를 받고서 황당했다”면서 “담당 국장과 통화해서 이의제기를 했다”고 반박했다.

파이낸셜 기자는 “관계자의 멘트를 기사로 그대로 보도한 것인데, 그것이 사실이 아니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면서 “PF대출 2조원의 규모도 업계에서 제출한 자료를 확보한 것이고, 업계의 자료가 금감원과 금융위로 보고됐을 것인데, 금감원이 이를 부인한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만기도래시 연장상환이 되면, 폭탄이 폭탄이 아니다”는 것에 대해서 파이낸셜 기자는 “그것은 해석하기 나름이다”면서 “만기가 도래해오는 시점에 언론인으로서 충분히 문제제기 할 수 있다고 본다, 사실무근이라는 해명자료가 사실무근인 것 같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