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
|
|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제공=한국은행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저인플레이션 지속에 대한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지만 디플레이션(물가의 지속하락)을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17일 서울 태평로 한은 본관에서 열린 물가설명회 겸 기자간담회를 열고 “최근의 낮은 물가상승률은 수요압력 약화 뿐 아니라 공급 및 정책요인에도 상당부분 기인하고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올해 물가상승률이 크게 둔화된 것에 대해 “수요요인과 공급요인, 정책요인 모두 물가 오름세를 낮추는 방향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며 “국내경제 성장세가 낮아지며 수요측 물가압력이 약화됐고,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가운데 지난해 농축수산물가격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이날 한은이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다. 올해 소비자물가상승률은 0.4%, 2021년에는 1.3%로 예상했다.
이 총재는 “내년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보다 높아져 1% 내외 수준을 나타낼 것”이라며 “수요 측면 물가압력이 미약하지만 공급 측면에서 물가 하방압력은 점차 완화될 것으로 목표수준(2%) 수렴속도는 완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총재는 “내년에는 미중 무역분쟁이 어느 정도 회복되고 반도체 경기가 점차 회복될 것으로 예상돼 국내경제가 완만하게나마 개선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며 “대외여건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므로 추이를 주의 깊게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12‧16 부동산 종합 대책이 가계부채 증가세를 둔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가계부채가 여전히 소득보다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우리 경제의 취약점 중 하나로 꼽히는 점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라며 “정부의 이번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에는 주택담보대출 규제 강화가 있고, 그 외 주택수요에 영향을 주는 조치들이 함께 담겼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최근 저물가 기조를 고려한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여부에 대해선 소극적인 입장을 내비췄다.
이 총재는 “물가안정목표 수준은 단기간 달성해야 하는 개념이 아닌 중기적 시계에서 지향해 나갈 목표”이라며 “물가 움직임만 보고 결정할 것이 아니라 경기 및 금융안정상황과 정부정책, 예상되는 효과 및 부작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