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는 출입기자증 신청 절차가 투명한데 반해~

취재수첩

KBS 출입기자증 신청 절차는 국회에 비해 불투명하고, 절차가 불명확하다. 최근 국회는 단기 출입기자 신청에 대해서도 일괄적으로 3개월로 승격하고, 출입기자 신청절차를 대폭 완화한 바 있다. 또한 국회는 출입기자를 신청하는 모든 언론사에 대해서 뉴스를 작성하는 건수를 기준으로 확인한다.

KBS는 7개월 전, 출입신청 절차에 대해서 1개월간 KBS에 출입하는 지, KBS와 관련된 기사가 꾸준히 올라오는 지 확인한 후에 출입기자증 신청절차를 밟는다고 했다. 미디어펜은 1개월간 KBS에 대해서 꾸준히 기사를 작성했다.

출입기자증을 담당하는 한 실무진은 “미디어펜은 블러그 스타일 뉴스로서, 일반 매체와 달라서 실명으로 되었으면 좋겠다”고 주문했다. 이에 KBS에 출입하는 기자는 필명에서 실명으로 변경했다. 그러다가 그 담당자는 이런 저런 이유를 거론하면서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지난 8일 KBS는 조직개편 대개혁을 발표했다. 이날 김명성 홍보부장은 미디어펜 출입기자증 발급이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이에 실무 담당자에게 다시 문의하자 “미디어펜은 왜 이제 왔느냐 신청서를 내라고 했는데 왜 안냈느냐”고 말했다.

다시 실무 담당자는 “홈페이지에서 조직도와 해당 기자 메일 보내기 기능을 추가하면, 출입증 발급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미디어펜은 홈페이지를 수정해서, 출입기자증 신청서를 제출했다.

KBS 수신료 인상안이 10일 이사회에 보고되고, 민주당과 시민단체 및 관련업계가 즉각 반발했다. 특히 15일 KBS의 수신료 현실화 공청회에 미디어 행동이 반대 공청회를 방송협회에서 열겠다고 나섰다.

12일 KBS 출입기자증 신청 절차를 재차 확인하자, 담당 실무진은 “기사를 일주일동안 확인하고, 또 절차를 밟으면 1달은 더 걸릴 것이다”고 말했다. 이에 “KBS 출입기자증 신청 절차가 뭐가 그리 오래 걸리느냐”고 묻고, 이지 가지 서로 언쟁이 오간 후, 전화를 끊었다.

이후 김명성 홍보부장은 “안전관리팀과 출입기자증 절차를 확인받는 절차가 있기 때문에, 빨리 진행해서 오는 25일까지 나올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화로 알려왔다.

23일 수신료 인상 안건이 KBS 이사회에서 정식 표결된다. 시점이 비슷하다. 2주일동안 KBS에 대한 기사에 대해서 검증절차를 거쳐서, 출입증 발급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숨은 의도가 혹시 있는지 참 의문이 간다. 국회처럼 명확한 절차가 있다면, 이러한 옥신각신 불투명한 언쟁이 없기 때문이다. 출입기자증 신청 절차도 이렇게 불투명한데, 다른 것들은 또 얼마나 불투명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