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싱크홀’은 대부분 지하매설물 파손이나 굴착공사 등 인위적인 요인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는 29일 최근 발생한 싱크홀을 계기로 실시한 굴착공사현장 특별점검 결과와 함께 범정부 민관합동 특별팀이 마련중인 싱크홀 예방대책을 제시하면서 이 같이 밝혔다.

   
▲ 지난달 21일 방이사거리 인근 한 인도에서 싱크홀이 발생했다./사진=뉴시스

국토부와 서울시 등에 따르면 지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197건의 싱크홀을 분석한 결과 지하매설물 49%, 굴착 20%, 지반약화 14% 등이 주 요인이었다.

다만 서울 송파구, 인천시 등에서 발생한 중대형 싱크홀은 지반을 고려하지 않은 '부실시공' 탓으로 조사됐다.

이날 국토부 관계자는 “국토부와 지자체, 공공기관이 철도·건축 등 대형 굴착공사 현장을 대상(849개소)으로 특별점검한 결과 공동이나 심각한 지반침하는 발견되지 않았다”며 “대부분 공사현장이 안전관리를 성실하게 수행하는 것으로 평가됐다”고 말했다.

이어 특별팀이 국내외 싱크홀(지반침하)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국토 대부분은 단단한 화강·편마암 등으로 구성되어 해외와 같은 대형 싱크홀은 발생하기 어려운 것으로 검토됐다.

일부 현장에서 인근 지반이 소폭 침하되거나 균열이 발견된 것은 즉시 보수·보강토록 했고 계측관리 미흡, 지하수위 감시소홀 등의 안전관리 미흡에 대해서도 현장에서 즉시 보완하도록 조치했다.

한편 민관합동 특별팀은 '지하공간 통합지도'를 중심으로 하는 '지하공간 통합 안전관리체계' 구축을 구상하고 있다.

지하공간 통합지도는 지하매설물, 지하구조물, 지반 등 관련 기관마다 보유하고 있는 정보(상하수도, 통신, 지하철 등 15개)를 3D기반으로 통합하는 것이다.

통합지도를 통해 지반이 취약한 것으로 분석된 지역에서 시행되는 대규모 지하개발은 인허가 시에 지반 등의 안전성을 미리 분석하고 대책을 수립하는 '사전 안전성 분석'을 실시할 계획이다. [미디어펜=조항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