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동은 기자] 금융당국이 오는 5월부터 삼성, 한화, 현대 등 6개 통합감독 대상 금융그룹의 전이위험·집중위험을 통합해 그룹위험과 자본적정성을 평가한다.

그룹위험의 평가등급을 세분화하고 필요자본 가산시 등급이 우수한 금융그룹에게는 인센티브를 부여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금융그룹 대표회사가 각 소속회사별로 산재되어 있는 공시사항을 통합해 그룹 차원의 공시를 시행하도록 한다.  

   
▲ 자료=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는 24일 서울정부청사에서 금융그룹 최고경영자(CEO)·전문가 간담회를 열어 금융그룹 감독제도 시범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개선방안을 논의했다.

‘금융그룹 감독제도’는 금융지주회사는 아니지만 여수신·보험·금투업 등 2개 이상 업종의 금융회사를 운영하는 자산 5조원 이상의 금융그룹을 감독·관리하는 제도다. 2018년 7월부터 시범운영 중에 있으며 삼성, 한화, 미래에셋, 교보, 현대차, DB 등 6개 기업이 대상이다.

금융위는 개정된 모범규준을 2개월 앞당긴 오는 5월부터 연장·시행하면서 집중위험·전이위험 평가로 나뉘었던 자본적정성 평가를 통합해 단일 평가체계로 개편한다. 이를 위해 위험발생가능성, 동반부실 상승 요인 등 다양한 그룹위험을 종합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지표를 구성하고 집중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지표에 반영한다.

평가의 변별력 강화를 위해 평가등급을 현행 5등급에서 15등급으로 세분화하고 등급이 우수한 금융그룹에게는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낮은 평가등급을 받을수록 더 많은 필요자본을 추가로 적립해야하기 때문에 자본 부담이 커진다.

또한 금융당국은 금융그룹 대표회사가 각 소속회사별 공시사항을 통합해 대표회사 홈페이지에 공시하도록 했다. 현재 금융당국에 보고되고 있는 그룹차원의 위험사항 중 정기 보고 항목은 간소화하고 대규모 거래 등 주요위험 요인 위주의 수시 보고체계를 만들 계획이다.

금융그룹 차원의 내부통제 수준을 높이기 위해 대표회사 중심의 그룹 내부통제체계 구축도 추진한다.

이에 각 금융그룹은 대표회사·소속 금융회사의 준법감시인 등으로 구성된 내부통제협의회를 운영하고 그룹 차원의 내부통제 방향을 설정한다. 또한 금융그룹의 내부통제정책과 기준을 마련하고 내부통제체계에 대해 공시·평가한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그동안 제도운영상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국제기준과의 정합성을 높여나가기 위해 금융그룹감독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며 “선제적 노력을 통해 스스로 위험요인을 파악·개선하고 그룹 내부통제체계 구축에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미디어펜=이동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