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살이가 적자를 기록하는 중산층 가구가 갈수록 늘어남에 따라 중산층 및 취약 계층의 생계비 부담 완화 등 다각적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김민정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본부 연구위원은 12일 '가계수지의 동태적 변화와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가계 수지 적자 상태에 빠진 중산층의 비중이 다른 계층에 비해 크게 늘어났다"며 "가계수지의 건전성을 높일 수 있는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밝혔다.

가계수지는 가정에서 벌어들인 돈(명목소득)과 쓴 돈(지출)을 비교해 남았는지 모자랐는지를 나타낸 것이다. 가계수지가 흑자는 소득 범위 내에서 지출을 해결한 것을 뜻하고, 적자는 빚을 얻어 살림을 이어간 셈이다.

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011년부터 2012년까지 2년 연속 가계수지가 적자상태를 보인 가구(적자유지 가구) 중 중산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30.3%에 달했다. 2010년 적자유지 중산층 비중(22.1%)과 비교하면 8.2%포인트나 높아졌다.

김 연구위원은 "적자유지 가구 중 중산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났다는 것은 중산층 가구도 한 번 가계수지 적자 상태로 전락하면 회복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2011년 흑자에서 2012년에는 적자로 돌아선 가구(적자전환) 가운데 중산층이 차지하는 비중도 42.2%로 1년 전(39.7%) 보다 확대됐다.

또 2011년에는 적자였지만 2012년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가구(흑자전환) 중 중산층이 치지하는 비중은 48%로 절반에도 못 미쳤다.

김 연구위원은 "중산층의 흑자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소득 확대 정책이 필요하다"며 "좋은 일자리 창출을 통해 근로소득을 높여주는 한편 채무부담 축소, 주거·의료비 등 생계비 부담 완화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