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아세안+3(한‧중‧일) 특별 화상 정상회의가 14일 오후 4시부터 6시까지 13개국 정상과 아세안 사무총장, WHO 사무총장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의 아세안 10개국과 한국, 중국, 일본이 함께하는 ‘아세안+3’ 회의체는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데 대한 공동 대응을 계기로 출범한 것으로 보건‧금융‧경제‧ICT‧교육 등 20여개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다.  

이날 회의는 문 대통령이 지난 3일 올해 의장국인 베트남의 응우옌 쑤언 푹 총리와 전화통화를 하면서 공감대를 재확인하고, 적극 추진됐다. 우리정부는 올해 한중일 3국 협력 조정국으로서 주도적으로 노력했다.

   
▲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후 청와대 본관 집무실에서 코로나19 공동 대응을 위한 ‘아세안+3 특별 화상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있다./청와대

문 대통령은 이날 모두발언과 의제발언, 마무리발언 등 모두 세차례 발언을 통해 세계 인구와 경제의 30%를 차지하는 아세안+3 회원국들은 서로 밀접한 연대와 교류로 연결된 운명 공동체로서 코로나19 위기도 함께 극복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의제발언에서 우리의 코로나19 대응 3대 원칙인 개방성, 투명성, 민주성과 ‘드라이브 스루’ ‘워크 스루’ 등 우리정부의 방역 조치 및 경제 안정화 정책들을 소개하고, 아세안+3의 연대 강화와 정책 공조를 위해 제안했다. 

첫째, 방역 및 의료 물품 공급이 적기에 이뤄질 수 있도록 역내 양자, 다자 차원에서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한 만큼 한국은 인도적지원 예산 추가 확보를 통해 아세안을 포함하는 각국의 지원 요청에 형편이 허용하는 대로 최대한 협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한-아세안 협력기금 및 아시아개발은행(ADB) 신탁기금 활용 방안, 아세안+3 차원의 기금 조성을 통한 협력 방안도 제안했다. 

둘째, 각국의 축적된 방역 정보와 임상데이터를 적극 공유하고 함께 활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한-아세안 보건장관대화 채널’을 신설하고, 보건 전문가 대상 ‘한-아세안 웹세미나’ 개최 등을 제안했다. 

   
▲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후 청와대 본관 집무실에서 코로나19 공동 대응을 위한 ‘아세안+3 특별 화상 정상회의’를 시작하기 전 모니터를 바라보고 있다./청와대

또한 빠른 시일 안에 아세안 보건 전문가들을 한국으로 초청하겠다고 밝혔다. 각국의 전문가들이 한국의 방역 현장을 방문하고, 보건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하고, 한국기업의 직접적인 지원 연결 등도 가능케 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아세안+3 차원의 ‘치료제와 백신’ 개발 협력에도 적극 함께 노력하자고 말했다. 

셋째, 문 대통령은 경제 교류, 인적 교류, 무역과 투자, 식량 물자의 필수적인 흐름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각국의 방역 조치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업인과 의료종사자, 인도적 방문 등 필수 인력이 최대한 이동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많은 정상들의 호응에 따라 이런 내용들이 공동성명에 적극 반영됐다. 

이날 문 대통령은 WTO 전망을 인용, 코로나19 확산으로 세계 교역이 32%까지 감소할 것이라고 우려를 표하고, 금년 내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이 서명되면 글로벌 공급망 유지 등 세계 교역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문 대통령은 최근 유엔식량기구(FAO) 경고를 인용, 코로나19로 인해 식량위기가 도래할 경우 취약계층이 한층 위협에 처하게 될 것임을 우려하고, 아세안+3 국가들이 역내 식량안보를 지켜나가기 위해 공조해 나가자고 했다.

   
▲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강경화 외교부 장관,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등이 14일 청와대 집무실에서 진행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극복을 위한 아세안+3 특별화상정상회의를 지켜보고 있다./청와대

아세안+3 정상들은 이번 특별 화상 정상회의 결과 ‘코로나19에 대한 아세안+3 특별 화상 정상회의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공동성명에는 아세안+3 국가간 △신속하고 투명한 정보 공유 △역내 필수적인 상호 흐름 유지 장려(기업인 등 필수 인력의 이동 촉진) △조기경보시스템 등 디지털 기술 및 혁신 활용 △‘아세안+3 필수 의료물품 비축제’ 신설 등을 통한 적절한 보건‧의료물품 공급 보장 △‘코로나19 아세안 대응 기금 신설’ 등이 담겼다.

앞으로 정상들은 방역, 경제, 무역 등 각 분야에서 구체적인 공조 방안을 마련해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아세안+3 외교장관회의 등 협의체에 후속 임무를 부여하고 점검해 나가기로 했다. 

청와대는 “우리정부가 올해 한중일 3국 협력 조정국으로서 이번 회의 개최 및 의제 논의를 주도했다”며 △우리의 과학적·혁신적 방역·진단 조치 △기업인 등 필수 인력의 이동 촉진 △교역 및 투자시장 개방 유지 △후속 조치 임무 부여 등 공동성명 도출 과정에서 적극 기여했다고 밝혔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