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산업자원분야 공기업들의 단기부채 상환능력이 떨어지고 있어 자산 건전성 확보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26일 국회예산정책처 및 공기업들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12개 산업자원분야 공기업의 유동비율이 2011년 92.3%에서 2013년 88.3%로 4.0%포인트 감소했다.
2011년 92.3%에서 2012년 83.3%로 떨어졌다가 2013년 88.3%로 5%포인트 상승했지만 기준치 100%에 못미쳤다.
|
|
|
▲ 사진출처=뉴시스 |
'유동비율'은 단기부채 상환능력을 측정하는 지표로 유동비율이 높을수록 현금동원력이 좋다는 의미다. 즉, 유동비율이 100% 미만이면 1년내 상환해야할 단기부채가 1년내 현금화가 가능한 단기자산보다 많다는 뜻이다.
예산처는 "기업은 단기간내 현금화가 가능한 유동자산을 적정하게 보유해야 한다"며 "이는 현금화가 어려운 부동산 등에 이익금을 모두 투자해 단기간에 상환해야 하는 부채를 제대로 갚지 못할 경우 흑자도산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한국광물자원공사는 해외자원 개발을 위한 차입금액이 증가하면서 단기차입금이 크게 늘어 2011년 150.3%에 달했던 유동비율이 2013년에는 64.3%로 86%포인트나 감소했다.
유동비율이 100% 미만인 것은 한국가스공사(146.8%)를 제외하고 다른 공기업도 마찬가지였다.
자본잠식상태에 놓여 있는 대한석탄공사는 2013년말 기준으로 20.1%에 불과했다. 석탄공사의 유동비율은 2011년과 2012년 각 19.9%, 2013년에는 20.1%를 기록했다.
예산처 관계자는 "유동비율은 기준치 100%를 밑도는 것보다 감소하는 것 자체가 문제가 된다"며 "근본적으로 영업이 늘면 단기차입금 유입도 낮아지겠지만 이와 더불어 불필요한 부지매각 등 자산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중장기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2개 산업분야 공기업은 한국전력공사와 6개 발전사(한국수력원자력·한국남동발전·한국남부발전·한국동서발전·한국동서발전·한국중부발전),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대한석탄공사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