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40주년 광주MBC 인터뷰 "개헌 시 5.18 헌법 전문에 담아야" 강조
[미디어펜=김소정 기자]문재인 대통령은 “5.18민주운동과 6월항쟁의 이념은 우리가 계승해야 할 민주이념으로서 헌법에 담아야 우리 민주화운동의 역사가 제대로 표현된다”며 “그렇게 되어서 국민들간 동의가 이뤄지면서 국민적 통합도 이뤄질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17일 광주MBC에서 방송된 ‘5.18 40주년 특별기획 문재인 대통령의 오일팔’에서 “언젠가 또 개헌이 논의된다면 헌법 전문에서 5.18민주운동의 취지가 반드시 되살아나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현재 헌법 전문에 3.1운동에 의해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고, 4.19민주운동의 이념을 계승하는 것으로만 되어 있는 것과 관련해 “4.19혁명만으로 민주 이념의 계승을 말하기에는 4.19혁명 이후 아주 장기간에 더욱 본격적인 군사독재가 있었기 때문에 4.19운동만 가지고는 민주화운동의 어떤 이념의 계승을 말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역적으로 (민주화 투쟁이) 강력하게 표출된 것이 시기 순서로 보면 부마민주항쟁이었고, 5.18민주화운동이었고, 그것이 전국적으로 확산된 것이 6월 민주항쟁이었고, 드디어 그 미완된 부분이 다시 촛불혁명으로 표출이 되면서 오늘의 정부에 이르고 있다”면서 “그 가운데 촛불혁명은 시기상으로 아주 가깝기 때문에 정치적 논란의 소지가 있다고 하더라도 적어도 5.18민주운동과 6월항쟁의 이념만큼은 우리 헌법에 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민주화운동 세력들이 광주에 대해 갖고 있는 부채의식에 대해 1980년 5.18 전날인 5월17일 비상계엄령이 확대되면서 바로 그날 계엄포고령 위반으로 구속됐던 이야기를 시작으로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당시 청량리경찰서 유치장에 수감돼서 저를 조사하던 경찰관들로부터 소식을 들었다”며 “계엄군의 발포로 많은 광주시민들이 사상을 당한 사실, 경찰은 발포 명령을 거부해서 광주시 진압에서 배제가 되었다는 사실, 시민군들이 예비군이나 경찰 무기고를 열어서 무기를 들고 이렇게 맞서고 있다는 사실 등 경찰정보망을 통해서 올라오는 소식들을 저에게 매일 전해 주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나중에 석방되고 난 이후에 보니까 그런 사실들은 거의 보도되지 않았고, 오히려 반대로 폭도들의 폭동인 양 그렇게 왜곡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저는 광주 바깥에서는 어떻게 보면 가장 먼저 광주의 진실, 그런 것을 접했던 사람 중의 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고 했다.

   
▲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올해로 40주년을 맞은 5.18 민주화운동과 관련해 광주 MBC와 인터뷰하고 있다./청와대

◇“‘서울역 대회군’ 직후 광주시민들만 외롭게 계엄군에 맞서”

문 대통령은 광주 5.18 소식을 들었을 때 “정말 민주화의 아주 중요한 그 길목에 다시 군이 나와서 군사독재를 연장하려고 한다는 사실에 굉장히 비통한 심정이었고, 또 한편으로 광주 시민들이 겪는 엄청난 고통을 들으면서 굉장히 큰 죄책감을 느꼈다”고 밝혔다.

그 이유에 대해 당시 5월15일 서울역에 무려 20만명이 운집할 정도로 서울지역 대학생들의 민주화 요구 집회 시위가 커졌지만 총학생 회장단이 일시 해산 결정을 내렸던 사실을 말하며, 이는 군 투입 명분을 주지 않기 위한 결정이었지만 이미 전두환정권은 비상계엄령을 확산시켰고, 결과적으로 광주시민들만 외롭게 계엄군과 맞서게 됐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왜 그런가 하면 80년 5월 초부터 매일같이 서울역에 서울지역 대학생들이 모여서 민주화를 요구하는 그런 집회 시위를 열었는데, 그게 날이 갈수록 숫자가 불어서 5월15일에는 무려 20만명이 서울역에 운집했다. 그런데 그 상황에서 군이 투입될 것이라는 소문이 쫙 퍼졌는데, 그러자 당시 그 집회를 이끌고 있던 서울지역 각 대학 총학생의 회장단들이 해산을 결정했다”고 회고했다.

이어 “그게 이른바 ‘서울역 대회군’이라고 부르는 것인데, 군이 투입될 수 있는 빌미를 줘서는 안 된다라는 명분도 있었고, 또 한편으로는 군이 투입되면 아주 희생이 클 것이기 때문에 나중에 상황이 좋아지고 난 이후에 다시 모여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며 “그런데 나는 그때 그 결정에 대해서 반대하는 입장이었다”고 했다.

“나는 그때 경희대 복학생 대표였는데, 나뿐만 아니라 대체로 복학생 그룹들은 말하자면 민주화로 가기 위한 마지막 관문이 군과 맞서는 것이기 때문에 군이 투입되더라도 사즉생의 각오로 맞서야 한다, 그 고비를 넘어야 민주화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국제사회가 주시를 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서울지역에서 대학생들을 상대로 아주 가혹한 그런 진압을 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이런 생각들을 가지고 있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지금 그때 총학생 회장단들의 결정을 비난할 생각은 전혀 없지만 어쨌든 결과적으로는 서울지역 대학생들이 매일 서울역에 모여서 민주화를 요구하는 대대적인 집회를 함으로써 결국은 군이 투입되는 그런 빌미를 만들어 주고는 결국 결정적인 시기에는 퇴각을 하는 그런 결정을 내린 것 때문에 광주 시민들이 정말 외롭게 계엄군하고 맞서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그 사실에 엄청난 죄책감을 느꼈고, 당시 민주화운동 세력들 모두가 광주에 대한 부채의식을 늘 갖고 있었고, 그 부채의식이 그 이후 민주화운동을 더욱 확산시키고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면서 “광주 시민들은 우리 1980년대 이후 대한민국 민주화운동의 상징과 같은 존재가 됐다”고 강조했다.

   
▲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올해로 40주년을 맞은 5·18 민주화운동과 관련해 광주 MBC와 인터뷰하고 있다./청와대

◇“5.18 하면 노무현 변호사 제일 먼저 생각 나”

이날 문 대통령은 5.18 하면 노무현 전 대통령을 떠올리게 되는 이유도 밝혔다.

문 대통령은 “조금 이야기가 약간 멀어질지 모르겠습니다마는 노무현 전 대통령, 그러니까 그 당시의 노무현 변호사가 제일 먼저 생각이 난다”며 “80년대 이후의 부산 지역의 민주화운동은 광주를 알리는 것이었다. 그 당시 광주가 외롭게 고립되어서 희생당했는데 거기에 동참하지 못하고 그냥 내버려두었던 그 사실에 대해서 큰 부채의식을 갖게 됐고, 그것이 민주화운동의 하나의 또 원동력이 됐다”고 설명했다.
 
“유인물들을 통해서 광주의 진실을 알리기도 하고, 또 해마다 5.18이 되면 버스를 2~3대 전세내서 합동으로 5.18 묘역을 참배하기도 했다. 나중에는 당시의 광주 상황을 촬영한 동영상들, 이른바 ‘광주 비디오’라고 부르던, 거의 한 시간 정도 되는 분량이었는데, 그 내용이 너무나 생생하고 정말로 참혹한 것이었다. 6월항쟁이 일어났던 87년 5월 당시의 노무현 변호사와 제가 주동이 돼서 부산 가톨릭센터에서 5.18 광주 비디오 관람회를 가졌다”고 설명했다.

“영화를 상영하듯이 하루 종일 모니터로 광주 비디오를 보여주는 것이다. 부산시민들이 줄을 서서 기다려서 광주 비디오를 보고, 그때 비로소 광주의 진실을 알게 된 그런 분들도 많았다. 정확한 날짜는 기억나지 않지만 한 3, 4일 정도는 한 것 같다”고 회고했다. 

문 대통령은 “그런 것이 부산지역 6월항쟁의 큰 동력이 되었다고 생각하고, 또 부산의 가톨릭센터가 6월항쟁 때 서울의 명동성당처럼 자연스럽게 부산 지역 6월항쟁을 이끄는 그런 중심지 역할을 했다”며 “그런 일들을 함께했던 노무현 변호사, 광주 항쟁의 주역은 아니지만 그러나 광주를 확장한 그런 분으로서 기억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