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사원 1000명 가운데 7.4명만 임원으로 승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전국 219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4년 승진․승급관리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현재의 직급별 승진율이 유지된다는 가정에 따라 신입사원이 임원으로 승진하는 비율은 0.74%로 파악됐다.

이는 1000명이 입사하면 불과 7.4명 임원이 된다는 의미다. 이 수치는 2005년 12명에서 2011년 7.9명, 올해 7.4명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신입사원이 부장으로 승진하는 비율은 2.41%였다.

규모별로는 대기업의 부장승진 비율은 1.8%, 임원승진 비율은 0.47%였다. 중소기업의 경우 부장은 11.5%, 임원은 5.6%였다.

사무직 대졸 신입사원이 부장으로 승진하는데 실제 걸리는 시간은 평균 17.9년, 임원까지는 평균 22.1년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1년 결과인 17.3년(신입사원→부장), 21.2년(신입사원→임원)에 비해 각각 0.6년, 0.9년 늘어난 것.

규정상 부장으로 승진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15.5년, 임원까지는 19.2년으로 나타났다. 실제 승진이 규정상 승진보다 더 걸리는 것이다.

이는 60세 정년 의무화 등 최근 노동시장 변화에 대응해 기업들이 승진 연한을 늘리는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추정되며, 향후 제도가 시행되면 이런 추세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경총은 설명했다.

사무직 승진 시 고려되는 요인은 부장급의 경우 '관리능력'(33.5%), '개인성과'(19.8%), '근속연수'(19.6%), '직무전문성'(14.0%) 순으로 조사됐다. 과장급의 경우 '직무전문성'(29.2%), '개인성과'(25.0%), '근속연수'(19.9%), '관리능력'(13.9%) 순으로 파악됐다.

근속 연수는 중소기업(부장급 20.2%, 과장급 19.5%)뿐만 아니라 대기업(부장급 18.3%, 과장급 21.3%)에서도 승진의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