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수 사법리스크·글로벌시장 재편·반도체 경고음…창사 후 최대 위기 직면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삼성이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시장과 사업 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재구속 우려까지 고개를 들고 있다. 대내외 리스크가 동시다발적으로 몰아치면서 삼성은 창사 후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7일 재계에 따르면 8일 구속영장 실질심사를 받는 이 부회장 거취가 삼성의 운명에 전환점이 될 전망된다. 위기 극복의 선결과제로 꼽히는 경영정상화의 열쇠를 이 부회장이 쥐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재계에서는 이 부회장의 경영 공백을 우려한다. 삼성은 물론 우리 경제에 불확실성이 가중되면서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우리 수출의 핵심인 반도체가 경제 강국들의 힘겨루기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글로벌 기업들은 ‘포스트 코로나’ 전략을 강화하며 체질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달 18일(현지시간) 중국 산시성에 위치한 삼성전자 시안반도체 사업장을 찾아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그러나 대표기업 삼성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대외 리스크와 사법 리스크가 겹치면서 좀처럼 출구전략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 가운데 그룹 리더십까지 공백이 생기면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위기에 빠져들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내 기업들은 물론, 주요 외신들도 이 부회장의 공백은 삼성의 앞날에 큰 리스크를 가져올 것이라는 우려를 숨기지 않고 있다.

이 가운데 재계와 법조계는 법원이 이 부회장을 구속시킬 명분이 약하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형사소송법 제70조에는 피의자가 △일정한 주거지가 없거나 △증거인멸 염려가 있거나 △도주의 염려가 있는 경우에 한해 구속할 수 있다고 돼있다.

이 부회장은 어느 한 가지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법조계 등에서는 검찰이 기각 가능성으로 인지하고도 이 부회장을 망신 주기 위해 영장을 청구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 부회장의 영장실질심사 결과는 삼성의 미래 전략과 직결될 가능성이 크다. 기존 사업의 체질 강화, 신성장동력 확보 등 핵심 전략을 모두 이 부회장이 깊숙이 관여하고 있다. 만약 이 부회장이 자리를 비울 경우 의사 결정 등에 차질이 불가피하다. 경영 속도도 글로벌 경쟁사들에 비해 현저지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은 “이재용 부회장은 세계 최대 기업집단 중 하나인 삼성의 최종 의사결정권자다. 이 부회장의 승인 없이는 주요 전략적인 결정과 대규모 인수합병 건은 진행될 수 없다”고 평가 한 바 있다.

삼성이 주춤하는 사이 해외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들은 인수합병(M&A) 전략을 강화하는 등 코로나19 이후를 준비하는 데 여념이 없다.

애플은 최근 3건의 스타트업 인수를 발표했고, 마이크로소프트 역식 통신 소프트웨어 업체와 스타트업을 품에 안았다. 시장에서는 코로나19 이후 기업들의 몸값이 낮아지면서 자금력을 앞세운 IT 공룡들이 공격적인 행보를 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러나 삼성은 이 부회장이 사법 리스크에 발목을 잡힌 뒤 이렇다할 M&A 성과가 없다. 대형 M&A는 2016년 11월 미국 전장기업 하만이 마지막이다. 책임을 지고 과감한 결정을 할 수 있는 총수가 또 자리를 비우면 삼성은 적극적으로 미래 먹거리 확보에 나서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의 최대 수익원인 반도체 시장에도 경고음이 강해지고 있다. 최근 반도체는 미·중 무역갈등에 한·일 관계 악화까지 겹치면서 위기감이 증폭되고 있다.

   
▲ 삼성 서초사옥 전견 /사진=연합뉴스

최근 우리 정부가 수출 규제 문제로 일본을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하기로 했고, 일본 전범기업 자산에 대한 현금화 조치 절차가 진행되면서 두 나라 정부의 골이 깊어 지고 있다.

특히 일본이 추가 경제보복 가능성을 거론하면서 반도체 업체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재 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에서 규제 대상을 확대할 경우 제품 생산에 타격을 맞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일본이 반도체 장비 부품, 설비로 규제 폭을 넓힐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반도체는 이 부회장인 차세대 기술과 경영 전략을 직접 챙겨온 핵심 사업이다. 이 부회장은 지난해 일본이 반도체 수재 수출 규제를 시행하자 현지로 날아가 해결 방안을 모색했다. 시스템 반도체 글로벌 1등 전략 역시 이 부회장이 진두지휘해왔다.

삼성은 이 같은 복합위기 극복을 위해 도움이 절실하다는 입장이다. 삼성은 “장기간에 걸친 검찰수사로 인해 정상적인 경영이 위축돼 있다. 코로나19 사태와 미중 간 무역 분쟁으로 인해 대외적인 불확실성까지 심화되고 있다”고 현 상황을 설명했다.

이어 삼성은 “위기를 이겨내기 위해 임직원들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한국경제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에도 최대의 노력을 경주할 것이다. 삼성이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