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건전성 관리에 역량 집중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주요 시중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두 달 연속 상승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기업의 실적부진이 심화되고 가계의 고용여건이 악화될 경우 대출 부실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 사진=미디어펜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KB국민‧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지난달 대출 연체율은 전달과 비교해 0.02%포인트씩 상승했다. 이는 3월 일시적으로 하락한 이후 두 달 연속 상승한 수치다.

우선 가계대출 연체율이 0.16~0.32%에서 0.17~0.33%로 전달보다 0.01~0.02%포인트 올랐고, 기업대출 연체율이 0.22~0.38에서 0.24~0.41로 은행별로 0.02~0.05%포인트 상승했다. 중소법인 연체율 상승폭이 대기업이나 개인 사업자보다 컸다.

이는 자산매각이나 회사채 발행 등으로 현금 유동성 확보가 수월한 대기업에 비해 자금 확보가 어렵고, 정부의 코로나19 정책지원이 대기업과 소상공인에 집중되면서 상대적으로 중소기업이 소외됐다는 분석이다.

은행권에선 연체율 상승폭이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일각에선 향후 대출 부실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기업의 실적부진이 심화되고 가계의 고용여건이 악화될 경우 한계기업과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대출 부실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하나금융투자에 따르면 최근 신한‧KB국민‧하나‧우리금융 등 4대 금융지주의 올해 대손충당금 전입액이 3조7000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3년 평균 대손충당금 전입액 2조4437억원과 비교해 규모가 대폭 늘어난 규모다.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회수가 어려울 것으로 우려되는 대출에 대비해 금융사가 미리 적립하는 금액이다. 대손충당금 전입액의 규모가 커질수록 대출부식 우려가 크다는 의미다.

시중은행의 5월 연체율 상승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타격이 일부 반영된 점을 감안해 은행권에선 코로나19 사태의 충격이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전망되는 앞으로의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건전성 관리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은행권의 관계자는 “아직 은행 건전성을 우려할 만한 상황은 아니다”면서도 “코로나19의 경제적 충격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에 대비해 건전성 관리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