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하늘 기자] 보험사 인수합병(M&A)전에서 승리한 금융지주사들이 짭잘한 브랜드 사용료를 거둬 들일것으로 전망된다.
각 지주 계열사가 브랜드 사용료 명목으로 매출 규모에 비례해 지주사에 일정부분의 로열티를 지불하는 만큼 각 지주사에선 통합되는 보험사 이름에 지주사의 이름을 붙일 경우 뜻밖의 수입을 얻을 수 있는 구조기 때문이다.
|
|
|
▲ 사진=신한금융지주 |
22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발표한 '브랜드 사용료 사례와 시사점'에 따르면, 주요 기업집단의 브랜드 사용료율은 0.007~0.75%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영업수익의 0.1~0.2%를 곱해 사용료를 산정한다.
국내 금융사는 제조업기준으로 볼때 매출액인 영업수익의 0.2% 내외의 브랜드 사용료율을 적용하고 있다.
실제 지난해 말 기준 신한금융지주의 경우 각 계열사로부터 총 497억5400만원의 브랜드사용료를 거둬들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현재 1239억원의 순이익을 올리고 있는 신한생명은 지난해 말 기준 약 24억원의 브랜드 사용료를 지불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전체 브랜드 사용료의 4.8%에 해당하는 규모다.
신한생명은 지난해 기준 신한금융지주사 전체가 벌어들인 당기순이익 3조4035억원 가운데 3.6%를 담당하고 있다.
여기에 내년 7월 신한생명과 오렌지라이프가 통합되며 사명에 '신한'을 사용할 경우 브랜드사용료를 더 확대해 거둬들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브랜드 사용료율을 적용하는 영업수익을 기준으로 살펴본다면 지난해 말 기준 오렌지라이프는 4조6620억원의 영업수익을 거뒀으며, 신한생명의 경우 5조4131억원의 영업수익을 올렸다.
양사가 통합된다면 영업수익이 10조원 규모에 달하며 부담해야 할 브랜드 사용료 역시 2배 이상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아직까진 통합 사명이 정해지지 않은 상황이지만 신한금융지주로 통합되는만큼 ‘신한’ 이라는 이름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란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실제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신한금융지주로의 통합인만큼 사명에서 '신한'을 버리진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
▲ 사진=KB금융 |
KB금융지주로의 인수 마무리 단계를 밟고 있는 푸르덴셜생명 역시 브랜드 사용료를 낼 것인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KB의 경우 상표권이 은행에 있어 KB 금융계열사들은 KB국민은행에 브랜드수수료를 내고 있다.
일단 KB금융은 푸르덴셜생명을 자회사로 편입한 뒤 이를 KB생명과 당장은 합병하지 않는다는 계획이지만 거대 금융지주로의 M&A인만큼 'KB'의 특징을 살린 사명 변경은 불가피 할 것으로 보인다.
KB금융은 푸르덴셜생명을 2년가량 독립적으로 운영한 뒤 KB생명과의 합병 여부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KB금융이 눈독을 들이고 있는 푸르덴셜생명은 지난해 말 기준 140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으며, 총 자산은 21조6100억원에 달한다.
KB생명은 지난해 기준 당기순이익은 160억원, 자산 9조8019억원으로 미미한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여기에 브랜드 사용료을 적용하는 영업수익은 지난해 말 기준 1조5064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KB생명은 이 가운데 0.17%를 브랜드 사용료로 지불한 것으로 확인됐다.
KB금융으로 합병되는 푸르덴셜생명은 지난해 말 기준 2조2598억원의 영업수익을 거뒀다. KB생명과의 합병이 완료된다면 약 3배 가량의 영업수익 규모가 확대되는 만큼 브랜드 사용료 역시 급증할 것으로 추측된다.
KB금융 관계자는 "푸르덴셜생명과 합병을 통해 자본 규모가 커지는만큼 해당 계열사가 부담해야 할 브랜드 사용료 역시 증가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나금융지주 역시 이달 초 더케이손해보험을 품은 하나손해보험을 공식 출범했다. 다만 하나금융은 하나손보가 안기는 브랜드 사용료 이익을 누리기엔 영향이 미미할 것으로 분석된다.
하나금융은 계열사로부터 별도의 브랜드 사용료를 받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대신 하나금융은 공동 광고 집행시 각 사에 순이익 규모에 비례해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하나금융 계열사의 한 관계자는 "브랜드 사용료는 광고 집행 등 집행 건 별로 각 관계사 순이익 규모에 맞춰 비율대로 나눠 공동 분담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하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