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해외경제 포커스' 발간
[미디어펜=백지현 기자]미국 경제는 올해 3분기 이후 회복하기 시작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국내총생산(GDP) 수준이 단기간 내 위기 이전 추세 수준으로 복귀하는 ‘V자형’ 회복보다는 GDP 수준이 상당기간 지나 위기 이전 추세 수준으로 복귀하는 ‘U자형’ 회복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 사진=연합뉴스


한국은행이 28일 발간한 ‘해외경제 포커스’에 따르면 향후 미국경제의 회복경로자 ‘빠른회복(V자형)’ ‘완만한 회복(U자형)’ ‘재침체(W자형)’ 등 세 가지 유형 중 어느 경로를 따를 지는 코로나19의 전개 양상과 정책대응의 효과, 일시적 충격의 장기화 여부 등에 의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코로나19 전개양상은 4월 중순 이후 둔화되던 신규 확진자수가 캘리포니아와 텍사스, 플로리다 등 서부와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다시 확대되고 있다.

앞으로 인구 밀집지역의 경제활동 재개가 확대되고, 대면접촉이 늘어날 경우 확진자가 더욱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여기다 백신 개발이 지연될 경우 바이러스 감염 우려가 소비심리 회복을 저해할 우려가 높다.

이에 따라 정부는 사상 최대 규모의 재정정책 등 통해 가계의 소득보전 및 기업의 긴급 운영자금 마련했다. 실제로 미국 정부의 코로나19 위기 대응을 위한 재정지원 규모는 GDO의 14%(약 2조9000억 달러)에 달한다. 현재 정부와 정치권에서 약 1~3조 달러 규모의 추가 지원 방안이 논의 중이다.

그러나 바이러스 감염 우려 상황 등으로 향후 경기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 본격적인 소비와 투자 회복으로 연결될지는 불분명하다.

4월중 가계소득이 정부의 현금 지급 및 실업급여 확대 등에 힘입어 전월대비 10.5% 확대됐으나, 가계가 이를 소비(-13.6%)보다는 저축에 사용하면서 개인저축률이 통계를 작성한 1959년 이후 최고치(33%)로 급등했다.

6월중 뉴욕 연준의 제조업체 서베이에서 다수의 기업들이 6개월 후 경기 및 신규수주가 현재보다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투자는 낮은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한다. 이처럼 경제주체의 보수적인 지출 형태가 당분간 지속되면서 재정의 성장제고 효과를 제약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번 경기침체기에는 장기실업과 기업 파산 등이 심화되면서 상당기간 노동공급 및 투자확대, 생산성 향상 등을 제약할 가능성도 상존한다.

향후 실업률이 경기개선 등으로 빠르게 낮아지더라도 상당 기간 코로나 위기 이전보다 높은 수준에 머무를 것이란 예상이 중론이다. 여기다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 등의 파산 우려도 대두되고 있다.

이 같은 여건을 감안할 때 향후 미국 경기는 ‘완만한 회복’을 나타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보고서는 투자은행 전망치를 이용해 2012년까지 미 GDP회복 경로를 살펴보면, GDP 수준이 내년 4분기부터 위기 이전인 2019년 4분기보다 높아지겠으나, 과거 추세 수준에는 상닥폭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현 상황에서 ‘빠른 회복’은 기대하기 어려우며 바이러스 재확산 또는 기업 파산 급증 등의 경우 ‘재침체’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전망했다.